•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33P 미리보기
오용록의 음군론에 대한 고찰 -심상건 <긴사랑가> 분석을 바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9권 / 51 ~ 83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한국전통음악의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선율의 움직임과 각 음의 관계 및 시김새에 주목한 오용록의 ‘음군론’이 있다. 오용록의 ‘음군론’에서 ‘음군’이란 “최소한의 선율적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몇 개 음의 덩어리”로, 이 음들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내재되어 있고, 이 관계에 의해 움직임의 의지가 발생하며, 이 의지로 선율이 만들어진다는 생각에 기반한 것이 바로 ‘음군론’이다. 이는 기존의 음계와 선법에 의한 분석 방법에서 약간 벗어나, 음악 그 자체에서 출발하는 분석 방법이다. 그러나 오용록이 발표한 ‘음군론’ 논문은 단 세편에 불과하여, 음군론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후학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음군론’을 활용하여 악곡을 분석하고 있고, ‘음군’이라는 용어에 대한 이해도 저마다 다르다.
    음군론의 효용성을 알기 위해 1927년과 1930년 녹음의 심상건 <긴사랑가> 두 음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필자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오용록의 음군론 분석 방법을 통해 음악을 살폈을 때, 선율의 움직임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고, 선율 안에서 각 음의 쓰임이 결코 우연이 아닌, 의도된 움직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음원이 각각 평조와 우조를 중심으로 하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나, 음군의 이동 방식과 그를 통한 선율 구사 방법은 다르지 않다.
    “최적의 분석 방법은 대상 속에 내재한다”는 신념에서 출발한 오용록의 음군론이, 후학들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우리 음악 분석에 대한 진일보를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As one of analysis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 is 'tonal group theory' of Oh Yong-rok that points to the movement of the melody, the relationship of each note and Sigimsae. ‘Tonal group’ refers to “a group of tones which constitute melodic meaning in a music”. 'tonal group theory' of Oh Yong-rok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re is a certain systematic relationship among the tones, and the relationship generates the motional intention by which the melodic line comes into existence’. This is the analysis method that starts from the music a little beyond the analysis method by the existing scale and mode.
    However, there are only the three papers of 'tonal group theory' presented by Oh Yong rok, and it is insufficient for younger students to understand the tonal group theory. Accordingly, the younger students are analyzing the music with 'tonal group theory' in different way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 'tonal group'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n order to know the efficiency of tonal group theory, the writer analyzed the 2 sound sources of Shim Sang Geon's <A Long Love Song> recorded in 1927 and 1930. According to its result, observing the music in the analysis method of Oh Yong rok's tonal group theory, the melodic movement was appeared more clearly. We can find that the use of each mind in the melody is not the accidental but the intended movement. Also, of the 2 sound sources recorded by Shim Sang Geon, one was centered on the Pyoungjo, while the other was centered on the Ujo with different structures, but the movement method of tonal group is not different.
    I hope that the tonal group theory of Oh Yong rok started from the creed, "the best analysis method is implied in the object." should be more developed through the younger students, and that they make the advance of our music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