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의 생명과 존엄한 죽음에 관한 기독교적 이해 (An Understanding on Death with Dignity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0.09
39P 미리보기
인간의 생명과 존엄한 죽음에 관한 기독교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24호 / 143 ~ 181페이지
    · 저자명 : 조재국

    초록

    17세기의 데카르트가 마음(psyche)과 몸(soma)을 이분법적으로 나누기 시작하면서 소위 기계론적 생명이해로 인하여 오늘날 생명을 상대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고, 의학적으로 생명현상을 조작하는 기술이 발전되면서 생명의 존엄성은 훼손되고 있다. 그러므로 생명의 존엄한 가치를 찾아보는 일은 생명의 본래적 의미를 되찾는 일이 될 것이다. 구약성서는 인간의 생명에 대하여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입김(혹은 숨)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일한 실재라는 사실을 말하며 인간의 생명이 철저하게 하나님의 것이라는 사실과 영혼과 육체가 하나라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오늘날 생명의 문제는 의료기술에 의한 연명치료와 관련하여 소위 존엄사에 대한 논의로 귀결되고 있는데, 존엄사의 권리를 주장하는 데는 대체로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본인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하여 죽음을 선택하게 하라는 주장이며, 다른 하나는 식물인간상태가 되면 인간으로서의 존엄한 가치가 사라진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기독교는 생명을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인간이 자의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에 서 있다.
    먼저 보수적인 입장의 목회자들은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만이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인간의 접근이 불가하며, 자연사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주장한다. 뇌사상태라도 다른 신체기능이 살아 작동하고 있다면 영혼이 머물러 있다고 보는 것이다. 다음으로 진보적인 목회자들은 생명의 신성성의 원리를 넘어 현실에 맞는 새로운 존엄사 담론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명치료를 통하여 얻어지는 생명의 기간까지 신성성의 범주에 넣는 것은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계의 중도적인 입장의 목회자들은 연명치료 중단에 따른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남용의 방지를 담보할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편 세브란스병원의 사건을 통하여 대법원이 내린 최종결론에는 연명치료 중단을 용인하면서 그 요건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즉 ①의식의 회복가능성이 없고 ②생명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기능의 상실을 회복할 수 없으며 ③환자의 신체 상태에 비추어 짧은 시간 내에 사망에 이를 수 있음이 명백한 경우에 회복 불가능한 사망 단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명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브란스 병원은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환자의 인공호흡기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가 사망 단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대법원의 예상과는 달리 인공호흡기를 떼어 낸 후에 환자의 자율호흡이 회복되어 일반환자의 수준으로 돌아가게 됨으로서 생명의 강인함을 보여 주었고, 생명에 대한 신중한 취급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세브란스병원 측은 존엄사라는 미명하에 단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에 기초하여 존엄사는 매우 신중하고도 엄격하게 적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세브란스병원의 고뇌는 인간의 생명이 하나님에게 속한다는 기독교적 생명이해에 따라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면서도 환자와 가족의 요청을 외면할 수 없는 병원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브란스 병원의 경우에서 본 바와 같이 의료현장에서 존엄사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현장에서 말기환자를 비롯하여 많은 환자들과 가족들이 의료진과 함께 품위 있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는 일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사회가 인간의 죽음에 이르는 삶을 충분히 케어할 수 있는 마음과 제도가 준비된다면 기독교가 주장하는 생명의 존엄성은 지켜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좀 더 현실의 문제와 관련하여 생명과 죽음의 의미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노령사회에서 인간의 마지막 삶의 여정을 품위 있게 보존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Descartes viewed a human with dualism as an existence with psyche and soma (body), there has been an incessant tendency to deem a life less than the most valuable.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been reinforced with the emergence of the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n life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the manipulation of genes. In this sense, the examination on the dignity of life should be linked to the inherent meaning of life. When it comes to life, the Old Testament supposes that the spirit of God and the breath of God are not two different matters. They are one substance. Likewise, our soul and body are one, and God is the author of life.
    Today, the issue of life and death in the medical area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of prolonging life, and subsequently to the subject on the death with dignity. With respect to the view on life in the debate on the death with dignity, two attitudes would be the representative: (1) the patient alone has the right to decide the death with dignity; (2) the human dignity vanishes once a person falls into the state of a vegetable. However, it is a Christian teaching that the issues on life and death are not to be determined by human since life is a gift granted by God.
    First of all, the conservative Christian pastors argues that there is no alternative for natural death because human life is in the hand of God only. According to them, as far as the body functions, he/she should be treated as alive because the soul is still in the body. On the other hand, the liberal pastors argue for a realistic approach through the dialogue on the death with dignity. They view that the extension of life through a life-support system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notion on the sanctity of life in general. Finally, the middle-ground pastors, while warning the danger ensuing when the treatment of prolonging life is denied, support an establishment to avert its abuse.
    The Supreme Court defined the conditions for the termination of the treatment of prolonging life as follows, that is, (1) no possibility to regain consciousness; (2) no possibility to recover from the function failure of life-related organs (3) symptom of rapid death process.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a patient with the above three conditions could be considered irrecoverable and in the death process, and therefore it allows of the removal of the life-support system.
    The Severance Hospital had removed the respirator abiding by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But contrary to the assumption of the Supreme Court that the patient had gone to death process and would soon die without the respirator, the patient’s self-respiratory function was recovered after the respirator had been removed. This case showed us that the life was stronger than we normally had thought and consequently caution is required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the decisions on the patient with a life-support system. The Severance Hospital insisted that the death with dignity should be applied with prudence and caution due to the obviously possible danger posed by it. A life would be lost when it is abused. The anguish of the Severance Hospital reflects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values – the spirit of its foundation along with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that the life belongs to God's sovereignty on the one hand, and the family’s demand and their right on the other.
    As is seen in the case of the Severance Hospital, it is not a simple matter to apply the Christian faith and teaching to the issue of death with dignity in the medical field. Although the problem exists, it would be, however, our obligation, while working on the issue with the patients as well as their families and the medical personnel, to struggle for a better confront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death with dignity. If we are well prepared individually and institutionally for the care of a patient in the last stage of their terminal illness, the Christian teaching in which the life is highly valued may be realized. Therefore, it will be our task to examine the real and practical meaning of life and death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and organizations where a human being in their final stage of life could maintain their dig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