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무속신화에서의 ‘웃음’의 기능과 위상 -<이공본풀이>의 ‘웃음웃을꽃’ 신화소를 중심으로- (The Functions and Status of ‘Laughter’ in Korea Shamanic Myths ‐ Focusing on mytheme ‘Laughing Flower’ in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한국 무속신화에서의 ‘웃음’의 기능과 위상 -&lt;이공본풀이&gt;의 ‘웃음웃을꽃’ 신화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3호 / 61 ~ 87페이지
    · 저자명 : 최원오

    초록

    웃음은 인간의 생리적 반응이다. 그런데 신화에 의하면 이러한 생리적 기능 외에도 특별한 기능과 결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점을 한국의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에 보이는 ‘웃음웃을꽃’ 신화소를 통해 검토하고, 무속의례 및 전설과 민담과의 대비를 통해 그 신화적 기능과 위상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구학자들의 웃음이론을 먼저 검토하였다. 이들의 웃음이론으로는 신화에서의 웃음의 기능을 결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신화에서의 웃음에 대한 검토는 신화 또는 구비문학의 자료를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웃을꽃’ 신화소의 기능과 그 위상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또는 보편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참조할 수 있는 논의로는 레비-스트로스와 블라지미르 쁘로쁘의 연구가 있다.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신화에서의 웃음은 ‘인간/비인간’, ‘삶/죽음’ 등을 구분 짓는 경계적(境界的) 기능, ‘참을 수 있는 것(참기 쉬운 것)/참을 수 없는 것(또는 참기 어려운 것)’이라는 생리적(生理的) 조절 기능, ‘삶(또는 생명)을 불러일으키는 것/죽음을 불러일으키는 것’과 같은 마법적(魔法的) 기능과 결부되어 있다. 이들의 논의를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웃을꽃’ 신화소에 견줘보면, 비록 한국의 무속신화에 웃음이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웃음의 기능이 세계신화의 보편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은 삶/죽음의 경계를 가르는 경계적 기능, 참음/참지 못함이라는 생리적 조절 기능과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의 전설 및 민담과의 대비를 통해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이 신화적으로 어떠한 위상에 있는가를 분석하였는데, 모두 비일상적 영역의 비일상적 존재에 대한 인간의 ‘웃음’은 결국 죽음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이 자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강요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차별적이다. 이러한 차별점은 세계신화의 맥락에서 보자면 보편적인 양상에 불과한데, 주화라는 주술적 도구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만은 차별적이다. 이것은 <이공본풀이>에서의 웃음이 사회적 죄를 신성적 죄로 치환하여 처벌한다는 것과 상동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이공본풀이>에는 웃음의 경계적, 생리적, 마법적 기능이 단순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죄를 신성적 범주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그것을 정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영어초록

    Laughter is a human physi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what is found in mythology,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special functions other than the physiological function. This study examined this fact through mytheme ‘Laughing Flower’ found in Korean shamanic myth <Yigongbonpuri>, and discussed the mythological functions and status of laughter through comparison with shamanic rituals, traditional stories, and folk tales. For these works, Western scholars’ theories of laughter were first reviewed. It is because their laughter theories cannot explain the functions of laughter in myths. What is more, study of laughter in myths needs to use materials of mythological or oral literature. Only then, we can grasp the functions and status of mytheme ‘Laughing Flower’ in <Yigongbonpuri> more specifically or universally. What we may refer to in this discussion are the works of Levi‐Strauss and Vladimir Propp. According to their studies, ‘laughter’ in myths play the function of border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and non‐human, life and death, etc., the function of physiological regulation of the tolerable/the intolerable, and the function of magic invoking life/invoking death. When their discussions are compared with mytheme ‘Laughing Flower’ in <Yigongbonpuri>, although laughter is nuanced delicately in Korean shamanic myths, the functions of the laughter can be understood in the universal context of world mythology. That is, it is shown that ‘laughter’ in <Yigongbonpuri>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order function dividing life and death, and the physiological regulation function of tolerance/non‐toleranc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ythological status of laughter in <Yigongbonpuri>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traditional stories and folk ta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y have it in common that ‘laughter’ of humans for an unusual being in an unusual realm becomes a cause of death at last. However, laughter in <Yigongbonpuri>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is not voluntary but forced. In the context of world mythology, this differentiation is merely a universal pattern, but the use of a coin as a magical medium is discriminatory. This means that laughter in <Yigongbonpuri> is in a homological relation with the conversion of a social crime into a sacred sin and punishment of the sin. In other words, <Yigongbonpuri> does not simply apply the border, physiological, and magical functions of laughter, but uses laugher actively in introducing a social crime into a sacred realm and purify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