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 연구 (A Study on Death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Old Age Grief and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3.02
12P 미리보기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7권 / 1호 / 127 ~ 138페이지
    · 저자명 : 김재경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제언하기위한 것이다. 급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서 노인인구의 수와 비율의 증가는 노인인구가맞게 될 삶의 마무리 즉 임종에 대한 대비가 시급함을 의미한다. 노인들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하는교육의 필요성이 점증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참여자들은 노년의 비탄과임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3)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 비탄과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참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죽음교육을 하기 전과 후를 관찰하고 심층인터뷰를시행하였다. 참여자는 78세 남자와 81세 여성 두 사람이었고 실험을 통해 두 사람의 사례를 분석하여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참여자 자신들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고 자신의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고 그에 대해 두 참여자가 죽음을 앞두고 불안하고 후회스럽고 비탄스럽다는 답변을 하였다. Hoy 모델로 대화식 교육을 하며 인지적 이해와 정서적 태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지적 정서적 변화가 뚜렷하였고 이해나 태도가 주도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도 질문도 동일하게 “자신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는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질문하였다. 처음에는 자책과 후회를 하며 환경을 탓했으나 대화식 교육 후에는 자기 자신을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지난 일들을 후회 한 것만이 아니라 재구성하여 자신을 인정하는 답변을 하였고주어진 현실을 부정하고 절망스러워 하던 데에서 변하여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답변을 보였다. 연구 결과 대화식 죽음교육 후에 비탄의 감정들을 완화되고 새로운 관점으로 자신과환경을 보기 시작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년의 비탄과 절망감해소를 위해 이러한 대화식죽음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노인들의 심리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대화식 죽음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ath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In our rapidly aging socie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means that the end of life that the elderly population will soon face, that is, the preparation for death, is urgently needed. The need for education to prepare the elderly for grief and death of the is increasing. A research problem was set. 1) How do participants perceive grief and death in old age? 2) What changes did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death education prepare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experience in terms of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3) How do participants who received death education to prepare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perceive grief and death?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the participants, to observe them both before and after death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two people, a 78-year-old man and an 81-year-old woman, and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cases of the two people through the experiment. When asked what good things and hard things happened in their lives and what they thought of their lives, the two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were anxious, regretful, and lamented over some things before death. Through interactive education using the Hoy model, cognitiv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attitude changes were observed.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were clear, whil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led to positive attitudinal changes.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 was the same: “What good and bad things happened in your life, how do you view your life?” The answer was to look at oneself positively and acknowledge oneself by reconstructing the past rather than regretting it. In addition, the subject changed from denying and despairing of about the given reality and gave an answer reflecting an attitude of acceptance of reality as it is.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education, the feelings of grief were alleviated and the participants began to see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they let go of guilt and became more aware of themselves,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s changed to positive ones, and they began to show an attitude of accepting realit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uch interactive education is necessary to relieve the grief and despair of the elderly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system, as well as personal support,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ituation of the eld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