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詩經諺解』에 제시된 독음과 『經傳釋文』 音切의 비교연구 - 유추음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Classic of Odes and Jingdian Shiwen’s direct sounds and Fanqie - with analogical pronunci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詩經諺解』에 제시된 독음과 『經傳釋文』 音切의 비교연구 - 유추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44호 / 153 ~ 180페이지
    · 저자명 : 한경호

    초록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本稿에서는 『詩經諺解』 중 나타난 대량의 중세한국한자음 중 類推音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河野六郎(1968) 및 伊藤智ゆき(2002)가 논한 중세한국한자음의 유추음과 전염(Contagion) 현상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河野六郎(1968)의 방법과는 다르게, 本稿에서는 나고야 대학 所藏의 19세기 전후 판본을 참고로 하지 않았으며, 原本시기와 가까운 1613년의 판본을 기준으로 자료를 정리하였고, 더불어 이를 『經典釋文』의 音切과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서, 本稿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발견을 하였다: 우선, 『廣韻』 중에는 해당 자에 한국한자음과 대응되는 反切이 있기는 하였으되, 다음과 같은 실제적으로는 맞지 않는 대응도 발견하였다: ‘旝’ *kopsa > kwɑj ͐의 異文일 뿐인 ‘會’를 ‘회’로 기록하였으며, ɖjwiʾ이라는 음절에 대응되는 ‘懟’의 독음을 ‘ᄃᆡ’로 적었고, ‘우는 소리’란 의미일 대의 ‘喤’은 독음이 ˱ɦwæŋ임에도, ‘화ᇰ’에 대응시켜, 실질적으로는 類推音인 대응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本稿에서는 한국어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어에도 생겨날 수 있는 유추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들은 한국한자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가령: ‘昭昭’의 ‘昭’는 *tewb > ͔tɕjɛw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照’ *tewsb > tɕjɛwʾ의 通假일 따름이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이때의 ‘昭’를 平聲으로 읽어 대응시키고 있다; ‘祉’ *tʰrɨʔb > ͑ʈʰɰɨ에 대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聲符인 ‘止’ *tɨʔb > ͑tɕɰɨ에 근거하여, ‘止’와 완전한 동음으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本稿에서는 河野六郎(1968)의 선행연구에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가령: 河野六郎(1968)에서 제시한 “熠”의 聲母는 羽母(本稿의 “于母”)ɦɰ-로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jɨp ͕에 대응된다는 점; ɖjwi ͗로 읽어야 하는 ‘懟’를 隊韻 –woj ͗으로 대응시킨 것 등이다.

    영어초록

    In summary, this study shows analogies from the large amount of Middle Korean Sino-Korean readings in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Classic of Odes (詩經諺解)”. These analogies coincides with analogies and contagions of Middle Korean Sino-Korean readings discussed in Kono (1968) and Ito (2002). In contrary to Kono (1968), this study used the 1613 version instead the version from Nagoya University (ca. 19th century), as it is closer to the date of original publication;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readings with the fanqie of “Jingdian Shiwen (經典釋文)”. This new approach reveals the following.
    First, many of the readings have corresponding fanqie in 『廣韻』, but some irregularities are found: “會” which is actually a variant of “旝” * , is misunderstood as “회”; “懟” * is erroneously read as “”; “喤”, which should be read as * when it refers to the ‘sound of crying/weeping’, is read as “”; these examples may all be considered as analogy.
    Second, this study found cases of analogies occuring in Middle Chinese (thus possibly affecting Sino-Korean readings): “昭” of “昭昭” shall be considered as a variant (通假) of “照” *tewsb > (not the usual *tewb > ), but both Middle Chinese and Sino-Korean misreads it as Level tone (平聲); “祉” shall be * > in Middle Chinese, but both Middle Chinese and Sino-Korean reanalyze the letter as the same of “止” * > which is the phonetic component.
    Finally, I also found some errors from Kono (1968). Examples: Kono (1968) refers the initial of “熠” as “羽母” [sic] (corresponds to “于母”), but it's actually “以母” j; “懟” i is erroneously referred as “隊韻” -woj.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