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비공유활용형 혁신파트너십, 지역화경제, 그리고 혁신도시입지특성은 에너지 및 관련산업기술의 기술혁신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Impact of Equipment Sharing Utilization Innovation Partnership and Localization Economies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Energy and Related Industrial Technologi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1.08
29P 미리보기
장비공유활용형 혁신파트너십, 지역화경제, 그리고 혁신도시입지특성은 에너지 및 관련산업기술의 기술혁신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거버넌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28권 / 2호 / 265 ~ 293페이지
    · 저자명 : 김경아

    초록

    본 연구는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는 파트너십이 아닌, 장비와 기반시설을 협력하는 파트너십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집적경제와 함께 실증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기술혁신을 위한 파트너십을 연구하는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실증분석모형은 공기업의 혁신도시이전 성공사례로 평가받는 한국전력 등 에너지 관련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이 입지한 혁신도시에서 집적경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가, GRDP기반 지역화경제, 외부장비공유, 파트너 유형에 따라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공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설명한다. 통제변수로서 기업특성은 기업의 혁신역량, 기업규모, 산업유형, 기술개발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통계청의 중소기업기술실태조사(2018년 ․ 2019년)에서 에너지 및 관련산업기술 부문에 속한 1,827개 중소기업이며, 풀링데이터로 구성하였다.
    로짓회귀분석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적경제 중에서 지역화 경제(LQ)는 기술혁신성공에 관해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특성 및 집적경제효과가 통제되었을 때, 에너지산업형 혁신공기업이 이전한 울산, 광주, 전남, 대구 지역에 입지한 에너지 및 관련산업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성공비율(odds)보다 타지역에 입지한 에너지 및 관련산업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성공비율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은 혁신도시 성과에 관한 정책적 논리들과 비교하여 좀 더 다각화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지역화경제, 혁신도시입지, 파트너 유형 등이 통제되었을 때, 외부장비 공유형 파트너십의 유형 중에서 대학, 중견기업, 전문검사기관과의 파트너십은 기술혁신성공에서 음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소-기업 또는 산-학-연 방식 파트너십에 대한 인센티브 또는 외부장비공유 형식에 대한 지원정책들에 대해서 정책적 논리 검토가 필요하고, 중소기업의 혁신 단독수행 역량에 대한 지원을 기업의 혁신역량과 매출규모 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ffers from prior studies in partnerships research for innovation in that it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haring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on innovation with agglomeration economies, not a partnership that shares technology and knowledg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gglomeration economies and innovation partnership activities on the succes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echnology innovation with 1,827 SME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related to energy and smart grid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empirically analyzed with the energy and related industries to illustrate whether the relocation of energy public enterprises conducted by political judgment leads to the agglomeration economic effects of innovative cit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 firm as the impact of its innovation capabilities, the size of the company,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Survey of Statistics Korea(2018, 2019), which is the pooled data of firms belonging to energy and related industrial technologies from the raw materials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localization economies” which are externalities that occur when a particular industry is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area, “agglomeration economy” of Innovation Cities, which is expected to be built as major energy public enterprises move t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s such as the formation of innovation partnerships and the equipment sharing on SMEs' innovation. In particular, through empirical analysis with the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ket-oriented public corporation’s relocation in innovative cities and agglomeration econom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agglomeration economies effect of innovative cities in energy and related industries such as KEPCO(Korea Electric Power Co.),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example of innovative cities, has been negatively related to SMEs’ succes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other words, small and medium-sized energy firms located in other regions are more successful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an small and medium-sized energy firms located in Ulsan, Gwangju, Jeonnam, and Daegu are.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policies that, at leas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energy and related industries can share only related equipment with promoting innovation without collaboration rather than who is an innovation partner when the agglomeration economy (including localization economy) is control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거버넌스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