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물가 요인은 원·달러 환율에 대한 구매력 평가 불균형의 느린 조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Dissecting the Purchasing Power Parity Puzzle through Bubble Trend and Arbitrage Barrie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5.09
32P 미리보기
비물가 요인은 원·달러 환율에 대한 구매력 평가 불균형의 느린 조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9권 / 3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윤영

    초록

    본고는 환율이 구매력 평가설로 부터의 이탈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물가는 불충분하며 오히려환율 내의 버블 등이 주요인이라는 최근의 연구결과(Engel and Morley, 2001)가 원․달러환율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im(2014, 2015)의 방법을 따라 환율과상대가격이 공적분 되어 있다하더라도 환율 내에 상대가격의 장기 추세 이외에 이와 독립적인별도의 I(1)인 비물가 추세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변환된 오차수정모형과 베버리지 넬슨 분해를통해 분석 및 검정 하였다.
    또한 환율 내 비물가 추세의 충격이 물가 충격보다 장기 지속적인반응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실질환율에 대한 비물가 추세의 충격반응함수의 분해를 통해 설명한다.
    외환위기 전후 원․달러 환율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이론적으로 예측된 대로관세, 운송비 등 제도적 요인 등으로 구매력 평가가 왜곡(bias)되고 물가 추이와 독립적인 버블이존재하는 경우 비물가 충격의 실질환율에 대한 장기 지속 반응을 유발하며, 제도적 요인을감안하여 수정된 환율의 장기균형으로부터 유도되는 FIML 추정 공적분 오차에는 전통적인이론의 예측대로 물가 추세 충격이 오히려 더 장기의 지속 반응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chasing Power Parity (PPP) is a theory that relative price level between countries determines the exchange rate which is based upon an extension of intuitive law of one price. It is doing a role of key linkage to the monetaristic approach of long run exchange rate determination and open macro-economic analysis. Therefore its rigorous test and understanding are critical for modern economic theory evolution.
    However, according to Rogoff (1996), Obstfeld and Rogoff (2000), the variability of real exchange rate is larger than the level that is expected by the present models explaining the PPP deviation. According to Frankel and Rose (1996), Cheung and Lai (1998, 2000a, 2000b), Papell (1997), Wu and Wu (2001), the half life from PPP deviation to equilibrium adjustment is roughly 3~5 and thus disequilibrium adjustment speed is quite slow.
    Obviously this adjustment time is too much long than it expected by the speed is price rigidity models; i.e., 1~2 years.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uzzle of international economic theory which demands fundamentally different sight to explain the connection of exchange rate with the price.
    With respect to this issue, remarkable hypothesis/evidences have been suggested to explain slow purchasing power adjustment. Firstly, Engel and Morley (2001), asserts that the root of the PPP puzzle may be resolved by allowing different speeds of convergence for nominal exchange rates and prices. In contrast to usual rational-expectations sticky-price models, which impose equivalent reversion speed for nominal exchange rates and prices, they examine an empirical model that supposes those variables to adjust at different speeds. Empirical evidences from state-space model estimation show that while prices converge relatively fast, nominal exchange ratesconverge slowly. It suggests that the lethargic rate of PPP reversion may come largely from slow nominal exchange rate adjustment rather than from slow price adjustment. Engel and Morley (2001, 24) conjectured that “bubbles or herding might temporarily send the exchange rate off on disequilibrium paths that result in the appearance of slow convergence to the equilibrium.”

    Cheung et al. (2004), us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estimated the speeds at which the individual variables revert to their long-run values.
    Their results confirmed those of Engel and Morley (2001) that nominal exchange rates do converge at a much slower rate than prices. Half-lives of nominal exchange rates are estimated to be from 3 to 6 years, while half-lives of prices are found to be just about 1 to 2 years. They also found that about 60~90% of PPP disequilibrium adjustment takes place through nominal exchange rate adjustment. They conclude that if nominal exchange rates converge much more slowly than prices, the PPP reversion speed can be slower than the price convergence speed, as described by the PPP puzzle.
    Wu et al. (2011) also found that main findings of Cheung et al. (2004) are robust to possible misspecifications in the true data-generating process (DGP). They examined the source of a real exchange-rate adjustment based on the impulse-response function constructed from local projections proposed by Jorda (2005) when the DGP is unknown. They showed that nominal exchange-rate adjustments dominate in the reversion toward PPP regardless of a nominal exchange-rate shock or a price shock.
    This paper examines these view that not the price but the bubble in the exchange rate mainly explains the slow adjustment of exchange rate to the PPP equilibrium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jecture of Engel and Morley (2001, 24) through following two fold approaches. Firstly, following Kim (2014), we test whether there is an I(1) stochastic bubble trend, which is independent with an I(1) trend of price in exchange rate. For this, we exploit a transformed error correction model and Beveridge-Nelson de- composition. Secondly, the shock of aforementioned bubble trend may induce a longrun/sustainable response of the PPP disequilibrium error when the cointegration vector is different from it implied by the PPP (possibly due to the barrier/frictions for trade such as tariff, transportation costs which hinders the PPP arbitrage.) We theoretically expect the response of PPP disequilibrium error from which the part induced by the barrier/frictions for trade are deleted may be mainly affected by the ‘sticky’ price as con- ventional approach expla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금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