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韓一統意識은 7세기의 이념인가 - 백제병합론의 반론에 대한 재론- (Was the “Three Hans were One” Notion(三韓一統意識) a product of the 7th century? : Counter-arguing to the critical response from the “Annexed Baekje” Theor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9.03
43P 미리보기
三韓一統意識은 7세기의 이념인가 - 백제병합론의 반론에 대한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3호 / 265 ~ 307페이지
    · 저자명 : 윤경진

    초록

    이 연구는 신라의 삼한일통의식이 7세기의 이념이라는 기존 견해에서 제기한 비판을 반박하고, 9세기에 비로소 출현했다는 이해를 재확인한 것이다. 특히 신라가 백제를 병합한 것에 불과하다는 주장에서 제기한 논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7세기 신라의 영토의식을 반영하는 “平壤已南 百濟土地”에 고구려는 포함되지 않으며, 신라가 나당전쟁의 결과로 도달했다는 “高句麗 南境”은 대동강을 가리키는 것임을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金庾信 獻議는 魏徵의 사례를 가지고 가공한 것이며, 무열왕의 太宗 諡號를 三韓의 一統과 연결한 것은 후대의 인식임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라말에 출현하는 四郡 인식은 신라가 海東에 포함되는 존재들을 자신의 역사로 수용한 결과이며, 삼한일통의식의 균열이 아니라 확립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response to a recent critical analysis raised from a rather traditional perspective which had been viewing the Shilla dynasty’s “Three Hans were one” notion as an ideological one formed in the 7th century. In this article such view is again rebutted, while it is maintained that the said notion was formed only in the 9th century. The point in contention (particularly in this article) is a previous argument that Shilla was only able to ‘annex’ Baekje.
    Examination in this article once again confirmed that a historical reference which said “Lands south of Pyeong’yang has been part of Baekje’s territory(平壤已南 百濟土地),” a line which in itself reveals how Shilla perceived its own territory in the 7th century, was a reference which did not actually include the territory of Goguryeo, and that the so-called “Southern border of Goguryeo(高句麗 南境),” which Shilla supposedly reached at the end of conflicts between itself and Dang, was in fact referring to no other than the Daedong-gang river. Meanwhile, the “Suggestion[‘Heon’eui, 獻議’] of Kim Yushin(金庾信)” seems to have been fabricated using the story of Wi Jing(魏徵), and people in later periods were obviously who recognized King Mu’yeol-wang’s posthumous title “Taejong(太宗)” and the “Samhan Iltong(三韓一統)” notion as being connected with each other.
    Added to that, the “Four Gun(四郡)“ notion which surfaced at the end of the Shilla period seems as a result of Shilla absorbing all Haedong(“East side of China, 海東”) entities into its own history. In that regard,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vidence, not to the collapse of the Samhan Iltong notion but instead the consolidation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