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라톤은 ‘플라토닉 러브’를 했을까? - ‘플라토닉 러브’의 개념에 관한 논고 - (Liebte Platon platonisch? - Anmerkungen zum Begriff “platonische Liebe”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Hölderlins “Hyperion”))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8.09
55P 미리보기
플라톤은 ‘플라토닉 러브’를 했을까? - ‘플라토닉 러브’의 개념에 관한 논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2권 / 72호 / 279 ~ 333페이지
    · 저자명 : 안성권

    초록

    “플라톤과 그의 스텔라가 서로 어떻게 사랑했는지 너는 아느냐? 나도 그렇게 사랑했었고 그렇게 사랑받았다. 오 나는 행복한 소년이었다.” (GStA III, 12) (Weist du, wie Plato und sein Stella sich liebten? So liebt’ ich, so war ich geliebt. O ich war ein glücklicher Knabe!) 1797년 출간된 프리드리히 횔덜린의 소설 『휘페리온』의 한 구절을 실마리로 이 논문을 시작한다. 소설의 한 구절이 뭐 그렇게 의미심장한 내용을 담고 있을까하고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문장이 논문 전체의 구심점이 되고 있으며, 주제의 맥락을 이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은 논문의 말미에 드러날 것이다. 이 구절을 논문의 단서로 삼은 데는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우선 시각적으로 눈에 익숙한 말은 ‘플라톤’과 ‘사랑’이다. 이 두 어절만 보면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갖춘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떠오르는 상투어가 드러날 것이다. ‘플라토닉 러브’. 이 논문의 으뜸 주제는 이 플라톤과 그의 이름이 들어 있는 ‘플라토닉 러브’의 연관성, 그리고 상투적인 말의 생성과정과 의미를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보조적으로 언급되어야 하는 여러 부수적 문제들이 동반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체적 맥락을 논증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들은 충분히 끌어들여 논증하고, 부차적인 사항들은 경우에 따라서 부득이하게 암시적으로 간략하게 언급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 집필 취지의 콘셉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란 무엇인가? 아무도 나에게 질문하지 않을 때 나는 알지만, 나에게 묻는 누군가에게 설명해야 할 때는 그것을 알지 못한다. (Quid est ergo tempus? si nemo ex me quaerat, scio; si quaerenti explicare velim, nescio.)” 우리가 ‘사랑’이라고 일컫는 말 또한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할지 그 개념을 명료하게 정리하기가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만약 내가 누군가에게 ‘플라토닉 러브’를 설명해야 한다면, 어떻게 논리적으로 정리해 줄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 해석을 위해 흩어져 있는 필요한 단서들을 끌어들여 학문적 이해를 돕기 위한 연구이다.

    영어초록

    Diese Arbeit macht sich zur Aufgabe, den Begriff der ‘platonischen Liebe’ zu untersuchen. Als Anhaltspunkt der Arbeit habe ich einen Satz aus Friedrich Hölderlins Roman 『Hyperion』, den man einen Platon-Roman nennen darf, genommen: „Weißt du, wie Plato und sein Stella sich liebten?“ Dieser Roman kann somit als eine Art Folie benutzt werden, anhand derer die Liebeskonzeptionen Platons betrachtet werden. Da die platonische Idee der Liebe sehr verschieden ist im Gegensatz um allgemeinen Begriff der ‘platonischen Liebe’, wie er in heutigen Redewendungen häufig verwendet wird, scheint es notwendig, erst die beiden Begriffsbestimmungen und ihre Entstehungsgeschichte zu untersuchen.
    Das Konzept der Liebe, des Eros, wie sie Platon in seinem Symposion vorstellt, ist kein göttliches Wesen, sondern eine Macht im Menschen, eine Triebfeder des menschlichen Verlangens zur Vollendung des Schönen und des Guten. Die Liebe ist nicht nur sinnliches Erleben und sexuelle Lust, sondern führt als dynamisches Prinzip das Subjekt im Menschen zum Bereich der Transzendenz und zur Idee der Schönheit, und bedeutet dadurch, dass sie den Menschen antreibt, sich körperlich und geistig fortzupflanzen. Die Liebe bedeutet also eine Auflehnung gegen alles Sterbliche, den Tod. Das sei das Göttliche, die Unsterblichkeit im Menschen.
    Der florentinische Neuplatoniker der Renaissance, Marsilio Ficino, sieht in der Liebe die maßgebliche Triebkraft für den Aufstieg der Seele zu Gott. Für diese Funktion verwendet er den Ausdruck ‘amor socraticus’, ‘sokratische Liebe’ oder ‘amor platonicus’, ‘platonische Liebe’. Der moderne, trivialisierte Ausdruck „platonische Liebe“ geht auf diesen Begriff Ficinos zurück, der jedoch mit den Konzepten von Platon und Ficino wenige Ähnlichkeit hat.
    In der englischen Karolinger Periode verbreitete die Königin Henrietta Maria, die Ehefrau von Charles I. das platonische Konzept der Liebe am englischen Hof. Im Auftrag Henrietta Marias schrieb William D'Avenant eine Tragikomödie mit dem Titel 『The platonick lovers』. Das Drama wurde 1635 uraufgeführt und 1636 publiziert. Mit diesem Drama haben wir das Konzept ‘platonic love’, aber noch mit anderer Schreibweise(platonick love) und anderer Bedeutung.
    Im modernen Sinne bedeutet der Begriff ‘platonic love’ etwas ganz anders als das, was wir bisher erörtert haben. Es ist nirgends zu finden, - wie im landläufigen Begriff von ‘platonic love’ ausgedrückt wird - dass die Konzeption des Eros bei Platon einen Verzicht auf das körperliche und sexuelle Verhältnis postuliert.
    Hyperion stand am Anfang dieser Arbeit und wird auch das Ende darstellen. In der Vorrede von ‘Der vorletzen Fassung’ versteht Hölderlin die Welt anhand der Idee von Hyperion als Schönheit. “Es ist vorhanden – als Schönheit; es wartet, um mit Hyperion zu reden, ein neues Reich auf uns, wo die Schönheit Königin ist.-”(GStA III, S. 236) Und bittet Platon um Entschuldigung, im Namen aller Menschen: “Heiliger Plato, vergib! man hat schwer an dir gesündig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