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은 이동표의 리학과 예학 (A Study on Naneun Lee Dong-pyo’s Principle Philosophy and Ritual Stu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난은 이동표의 리학과 예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1호 / 295 ~ 320페이지
    · 저자명 : 전성건

    초록

    이 논문은 난은 이동표의 리학과 예학을 살펴본 것이다. 그는 14세부터 위기지학에 뜻을 두었으며, 퇴계학파에서 위기지학의 책으로 중시했던 『심경』을 애독했다. 26세에 하당 권두인의 내방을 받고 함께 『심경』을 강론한 것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32세에 증광생원시에 합격한 것은 모부인의 상심을 위로해드리기 위해서였다. 이후 동당시에서 ‘이천소’라는 별호를 얻은 일, 여러 차례 상소를 통해 직간한 것, 권문세가들의 부당함을 제기한 것 등을 통해 그의 위기지학하는 선비로서의 모습도 볼 수 있다. 그가 ‘소퇴계’로 평가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난은의 문집에는 그의 글들이 상당수 빠져 있다. 그러므로 그가 저술했다는 「태극변설」, 『심경주해』, 『역도설』, 『예설변』 등을 통해 추론할 수 있는 것은 그가 퇴계학문의 자장 속에 깊이 들어가 있다는 사실이다. 퇴계학문을 두 측면에서 개괄해보면, 리학과 예학이라고 할 수 있다. 리학이 당대 유학 이념을 정당화하는 것이었다고 한다면, 예학은 리학이라는 이념을 구체적인 현실에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리학에 대한 이해는 『心經附註』를 통해서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 그의 ‘同行異情’에 대한 생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는 ‘동행이정’의 ‘行’을 ‘行實’의 ‘행’으로 읽어서는 안 되고, ‘流行’의 ‘行’으로 읽을 것을 제안하고, 또 ‘同行異情’의 ‘情’을 ‘情狀’으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난은이 자세하게 변설한 것이 소실되어 정확한 眞意는 알기 어렵지만, 그가 제안한 것은 천리가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한 사람의 마음이 도리에 부합하게 되면 천리가 되고, 정욕을 따르게 되면 인욕이 되는 상태[情狀]를 구별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예학의 경우에도, 그는 당대 집안과 제자들의 變禮에 대한 질문에 답변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대 퇴계학파는 古禮를 의식절차의 근본으로 생각하되, 『家禮』를 당대 모범으로 판단하였으며, 時俗의 儀禮 또한 중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의 변례에 대한 답변을 보면, 오히려 俗禮에 대해 상당히 인정해주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비록 書信과 問目 등의 글이 충분하지 않아 이를 단정 짓기 어렵지만, 당대의 상황과 여건을 중시하고 있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듯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Naneun Lee Dong-pyo’s principle philosophy and ritual study. He began to focus on Learning for yourself from the age of fourteen, and he read Classic of Heart-Mind as a book of Learning for yourself being important in the Toegye school. At the age of twenty-six, he met hadang Kwon Du-in who he explain Naneun Classic of Heart-Mind and he admitted his Learning for yourself. At the age of thirty-two, h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in order to comfort his mother. Since then, he has gained the nickname of combing a hair a thousand times, he has been exposed through numerous appeals, and raised the unfairness of powerful families. That's why he is considered a small Toegye.
    There were a lot of his writings which are missing in his Collection of Works. Therefore, what he can deduce through Interpretation on the Great Ultimate, Explanation on Classic of Heart-Mind, and Translation on Zhouyi Hexagram that he wrote, is the fact that he is deeply in the head of the Toegye school. His learning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which are Principle Philosophy and Ritual Study.
    His understanding of Principle Philosophy seems to have been secured through Classic of Heart-Mind Commentary. We can confirm this from his thoughts on the Theory of Heaven Principle and Human heart-mind. He suggests that they work together, but they work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desire works.
    Also, in the case of Ritual Study, he seems to have been playing a role in answering questions about contemporary changed rituals. The contemporary Toegye school regarded old ritual as the basis of the ritual process, judged Family Ritual as its model, and emphasized the conventional ritual. By the way, if you look at the answer to his exception, he rather seems to appreciate the conventional ritual. Although there are not enough articles such as writing and questionnaires, it is hard to make a definite statement, but it seems to be undeniable that it emphasized the circumstances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