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학적 기반으로 본 명상심리의 기초적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관련하여 - (A study on Buddhist meditation psychology based on Yogācāra system : in relation to C. G. Jung’s analytical psych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5.04
29P 미리보기
유식학적 기반으로 본 명상심리의 기초적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3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재권

    초록

    이 논문은 유식학의 사상구조와 분석심리학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통해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명상심리치료에 대한 유식학적 융합모델의 정립을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불교학의 패러다임에 현대 심리학의 성과를 통합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단초를 어느 정도 마련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불교명상에 대한 최근의 국내․외 연구경향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의 기본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알라야식에 기반 한 8식의 구조와 융의 의식․무의식의 관계구조를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필자는 이러한 기본적 이해를 토대로 실존적인 고통발생의 기제와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유식학의 교설 가운데 사상구조의 핵심을 이루는 삼성설과 轉依의 구조를 명상심리의 맥락에서 살펴본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식학의 가장 대표적인 삼성설은 융이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적 고통의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변계소집성’ 중심의 명상심리는 ‘과학적 치료’의 일환으로 상정된다. 한편 의타기성을 근거로 한 노력, 즉 轉依를 향한 ‘원성실성’ 중심의 명상심리는 개성화를 통한 인간전체 즉 자기실현을 향한 수행의 과정과 그 치료적 맥락에서 ‘철학적 치료’의 일환으로 정립할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model to psychotherapy through meditation,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as various forms in contemporary society, in a way to understand syntagmatically the structure of Yogācāra system and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purpose that the author tries the approach through the above methodology is to introduce the beginning to apply Buddhist paradigm to contemporary psychology as one of integration of academic disciplines.
    This paper introduces briefly the recent research on Buddhist Meditation, and then compares and reviews the structures between Eight Consciousnesses, based on ālayavijñāna which is called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the relationship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Jungian psychology.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Three Natures (trisvabhāva) and ‘Revolution’ or inner transformation of the Basis (āśrayaparāvṛtti) in Yogācāra’s doctrine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existential painfulnes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leading to its therapy.
    From comparing Yogācāra doctrine and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following two conclusive points can be made. First, Buddhist meditation through the nature of existence produced from attachment to illusory discrimination (parikalpita-svabhāva) in the doctrine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considers as one model for psychotherapy to cope with the problems caused from phenomenal painfulness. Second, Buddhist meditation using the nature of existence being perfectly accomplished (pariniṣpanna-svabhāva), that is to say, the effort based on the nature of existence arising from causes and conditions (paratantra-svabhāva) in the doctrine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provides a method for philosophical psychotherapy in terms of individualization and self-realization in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