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복합 디자인교육을 위한 디자인학의 의제 (Research Agenda in Design Studies for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4.12
14P 미리보기
융복합 디자인교육을 위한 디자인학의 의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8호 / 511 ~ 524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혁명 이후 기계미학을 토대로 성장해온 디자인 문화로 인해 인간의 삶은 고도화된 인공물의 풍요 속에 함께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풍요는 디자인된 인공물의 존재론적 배려를 구하지 않은 채 기계론적 관점에서 과도하게 생산·소비되어 왔다. 이러한 현대 디자인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은 자본주의 소비체계와 사회 간의 복합적인 인과 관계에서 비롯된다. 외형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디자인 환경의 심층적 의미를 독해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융복합 디자인 교육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 향후 실증적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학제 간 접근을 통해 융복합 교육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디자인학의 이론적 가능범위를 모색한다. 이는 광범위한 주제이므로 사회·철학적 논의와 연결되는 디자인의 담론적 맥락을 중심 범위로 한정하였다. 특히, 디자인 문화를 철학적으로 비판하기 위해 사회학적, 미학적, 기술철학적 관점을 비판적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여 이론적 경계를 확장한다. 또한 디자인학이 융복합학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비판이론적 틀을 활용한다. (결과) 디자인이 융복합학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으로 설계되기 위한 토대는 학생들의‘비평능력 함양’과 관계가 있다. 디자인 현상을 다양한 사회·문화적 사태에서 발생하는‘담론의 장’으로 파악하고, 이를 다각적 해석이 가능한 텍스트로 간주하는 관점이 요구된다. 이러한 접근은 인공물이 생산되는 시장 시스템에 대한 태도 형성뿐 아니라, 디자인의 보편적 가치척도에 대한 입장 형성으로 이어진다. 궁극적으로, 융복합적 디자인교육은 기초학문을 토대로 하되, 교육방법론의 다양성, 개방성과 연관됨을 보여준다. (결론) 디자인 교육은 단순한 소비재의 역할과 관련된 교육에서 확장하여 비평적 사유를 촉진하는 학제적 도구로 기능해야 한다. 학생들이 대학의 울타리 밖의 생동하는 현실을 학제적으로 조망하고 판단하여 실천하는 존재로 살아간다는 의미는 결국 융복합적 교육의 함의에 닿기 때문이다. 이는 융복합 디자인교육의 역할과 긴밀하게 연계되며, 학생들이 비판적 사유 역량을 심화하고 그들만의 사물과 공간체계를 독창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향후 디자인학의 인문학적 기초를 통한 융복합적 교육이 디자인의 공공성을 재정립하고,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design culture has evolved based on mechanical aesthetics, with human life developing amidst an abundance of advanced artifacts. However, this abundance has been excessively produced and consumed from a mechanistic perspective without seeking ontological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ed artifacts. This problem of awareness of modern design culture stems from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t consumption systems and society.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deep meaning of the design environment beyond a perspective centered on appearance is required, and this is also deeply connected to the paradigm shift in design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and establish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scope of design studies within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cause this is a broad topic, the discursive context of design connected to soci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is limited to the central scope. In particular, to philosophically critique design culture, critical tools from sociology, aesthetics, and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are utilized to expand theoretical boundaries. Furthermore, a critical theoretical framework is employed to analyze the role of design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convergence. (Results) The foundation for positioning design as a discipline in convergence-based education lies in fostering students' "critical capac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sign phenomenon as a ‘field of discourse’ arising i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nd viewed as texts open to interpretation from various angles. This approach shapes attitudes toward the market systems producing artifacts and encourages evaluation through a universal value scale of design. Ultimately, convergence-based design education promotes grounding in foundational disciplines while emphasizing methodological diversity, openness, and adaptability. (Conclusion) Design education should expand from simple consumer goods to function as an interdisciplinary tool for promoting critical thinking. This enables students living as beings who critically view, judge, and practice a vibrant reality outside the university fence to ultimately reach the implications of convergent education. This is closely linked to the role of convergent design, and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tudents to deepe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uniquely construct their own objects and spatial systems. It is expected that convergent education through the humanities foundation of design studies in the future can redefine the publicness of design and restore its social 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