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계대출상품 선택과 연체율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The Determinants of Housing Loan Choice and the Overdue Rate of Housing Loan : Empirical Evide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7.03
28P 미리보기
가계대출상품 선택과 연체율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0권 / 3호 / 363 ~ 390페이지
    · 저자명 : 류주연, 전진규

    초록

    세계 금융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가계발 대출 부실화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국민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상승 및 생계비 증가 등으로 인하여 2015년 말 기준 전체 가계신용잔액은 1,352.9조원, 주택담보대출 잔액 608.8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가계부채의 원리금상환부담은 가계의 소비 여력을 위축시키고, 시중금리 상승 시 가계부채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져 이에 대한처리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주택금융시장의 건전성 확보 및 리스크 분산을 위하여장기 고정금리 및 원리금분할 방식 대출을 정책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금리·원리금분할상환 대출이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의 금리유형 및 상환구조 선택의 결정요인 분석하였다. 국내 시중은행들로부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5,636,802건의 주택담보대출을 대상으로 대출 상품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차주의 연소득 변동성(Income Risk)의 주요 변수인 연소득, 나이, 신용등급 등에 따라 고정·변동금리 대출의 선호가 달라지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을 경우 변동금리의 선호현상이 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장단기금리차가 커질 경우 단기 금리인 변동금리와 장기금리인 고정금리 간의 격차 역시 증가하여 고정금리 대출선호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연구기간에서 고정금리 및 원리금 분할상환 대출은연체율을 유의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상승했던 2005년부터 2008년에 발생한 대출만을 별도로분석한 결과 변동금리대출과 고정금리대출의 연체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상환 대출은 상대적으로연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금융당국의 주택금융 정책에 시사하는 바는 은행의 효율적장기자금 조달을 통해 고정·변동금리의 격차를 낮출 필요가 있는 점이다. 또한 연소득이 낮은 차주를 고정금리대출로 전환 유도 시 안심전환대출과 같은 저소득자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분할상환에 따른 원리금상환 부담을낮추기 위하여 금리 및 만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key sources of global financial crisis is households debt insolvency. In Korea, the total households debt reached to 1,352.9 billion wons and housing loan reached to 608.8 billion wons at the end of year 2015. Economists see little risk of the debt prompting a financial crisis, nothing Korea’s moderate loan-to-value rations and historically low default rates. Nevertheless, in order to push borrowers towards more manageable and predictable repayment schedules, the Korean government set the target proportion of fixed-rate and amortising home loans: fixed-rate and amortising home loans must each account for 40 percent of banks' residential mortgage holdings by 2017.
    In the circumstance that fixed and installment housing loans are encouraged by the government,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choice between fixed and adjustable rates and between bullet and installment housing loans. We use the broad data of home loans up to 5,636,802 loans occurred from 2010 to 2014. These data are collected from all the Korean commercial banks.
    Among the sample loans, 3,886,214 loans employ adjustable rates and 955,113 loans employ fixed rates, while the other 789,251 are the loans with mixed rates. 1,899,563 loans use bullet payments, 1,964,052 loans use installment payment with terms unredeemed, although 1,538,295 are installment payment loans without terms unredeemed.
    By applying various empirical methods, we find that the income risk factors such as annual income, age and credit scores are the key determinants, while the other factors such as wealth risk and policy risk are important, too. For example, an increase in housing price lead higher preference to fixed rate loans, which is the evidence that wealth risk is an improtant factor. Also, adjustable-rate loans are preferred when the housing price increases and when the term structure spread is larger.
    We als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overdue rate of housing loans and find that,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the overdue rate of fixed-rate and amortising loans is larger than that of adjustable-rate and bullet loans. The main reason of this findings is that loan holders are more concerned with higher fixed rate and feel burden to installment payment. However, during the year 2005 and 2008, when the interest rate increased, we do not find any difference in the default rate between fixed-rate and adjustable-rate loans, while amortising loans still have the higher overdue rate. This study is the first to analyze the large dataset of housing loans provided by commercial banks.
    Our results provide important suggestions regarding the government policy on housing loans.
    First, the key determinant on the choice of housing loans is the spread between fixed rates and adjustable rates. This suggests that if the government want to increase the use of fixed rate loans, they need to set the policy to decrease the spread. In the banks’ perspective, in order to decrease the spread, banks need to finance long-term funds more efficiently. For example, they may use long-term debts such as the MBS or covered bonds. Second, according to our findings, people with lower income are more likely to use adjusted rate and bullet payment loans. In that they have the more possibility to be exposed to be default with an increase in interest rates, the government need to set various policy to support those lower income lenders by enhancing welfare policy on financing as well as employment. In addition, higher installment pay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use defaults. In order to reduce installment payments, it is important to set the loan maturity efficiently.
    Note that if the maturity is too short lenders need pay more installment, while if it is too long lender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interest rate ri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