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0.12
45P 미리보기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6호 / 217 ~ 261페이지
    · 저자명 : 정도원

    초록

    현 조선 유학사 연구는 서구 근대의 학문관에 기초한 학문분류 및 분석을 선호한다. 그러나 조선 유학은 도학 실천을 중심으로 한 학문이며, 성학이라는 실천 목표로 포괄된다. 따라서 조선 유학에 관한 분석은 철저히 조선 유학 혹은 주자학, 도학 등의 학문 자체 논리에 입각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학문분류 개념인 이학, 심학, 도학, 성학 등은 학파의 구분을 넘어 내용을 중심으로 한 분류이며, 위기지학을 전제로 한다. 각각의 개념은 자체로 완결된 체계를 가지며, 서로는 중층적으로 맞물려 있고, 이학과 심학이 서로의 始終이 되어 순환적으로 검증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학과 심학을 중심으로 전 사상을 평가하거나 추정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런 맥락에서 조선 도학을 “이학-심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본다.
    조선 유학을 대표하는 퇴계와 율곡의 성학 혹은 도학 체계는 이러한 구조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다. 理氣의 互發 속에서 尊理의 당위를 강조하는 퇴계의 『성학십도』는 이학과 심학을 이원적으로 배치하면서도 心學, 즉 敬을 중심으로 일관시키고 있는 반면 一途說을 주장하는 율곡의 『성학집요』는 成己成物이라는 일원적 도학의 당위성 속에서 閑邪存誠의 矯氣質論을 구성하여 誠意의 틀로 논의를 일원화한다.
    양자의 공통점은 동시대 도학자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차이점은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학설 혹은 도학 실천의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율곡은 특히 퇴계의 호발설을 비판한 바 있는데, 이는 바로 이러한 도학 실천 방법의 차이에 따른 것이었다. 이학은 심학의 전제이며 심학은 다시 이학으로 검증되고, 도학으로 확장된다. 그러므로 율곡이 퇴계의 호발론을 비판했다는 것은 퇴계의 호발론이 그가 구상하는 일본의 일관된 논의의 근거가 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사단칠정 혹은 인심도심논쟁은 단순한 형이상학적인 인간학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적 실천의 문제에 집중된 심학 혹은 도학 실천 방법론의 대립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조선 주자학을 심학에 근거하여 전체 체계를 일관시켜 다루어야 하며, 내성외왕의 어느 한 쪽만을 분리하여 이론적으로 천착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Chosun Neo-Confucianism is based on modern western study categorization. But Chosun Confucianism was the system for realization of their idea for Tao or Sage. It is out of western study category. I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in its own context.
    Traditionally, Neo-Confucianism has correlated system. One theory -traditionally, called “~ study(學)" - has the self-sufficient system and piled up another one. The theories of Li(理) and Xin(心) are the core of those theory, and they are the other's base and result at the same time. So the core of Neo-Confucianism should be these two theories.
    The studies of Li(理) and Xin(心) of Toegye and Yulgok, the prominent scholars of Chosun Confucianism, may confirm this systemic correlations. They designed their representative works, SeongHakSipDo and SeongHakJipYo, based on their studies of Li(理) and Xin(心). Toegye designed his work dualistic system, pointing Li and running through piety Xin, showing majesty of Li. Yulgok designed unitary system showing appropriateness of TaoXue(道學), perfecting of others through perfection of Self(成己成物).
    They pursuit the realization of Neo-Confucian idea in common but their way to fulfill their common idea was different. The differences of their studies on theory and practice may be found this point. This explains why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in the point of Study of Xin, not theory of Li. The Focus of Chosun Confucianism, especially Four-Seven Debates, is not the metaphysical theory of Humanity but the Self trying for realizing the world of Tao, in this poin of view.
    It can be asserted at the result that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as a whole practical system not the theory of perfection of Self neither realization of Neo-Confucian id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