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의 절의 실천과 그 연원 -가문․지역․학문적 영향을 중심으로- (Gyowoo Yun Ju-ha's Practice of Righteousness and its Origin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의 절의 실천과 그 연원 -가문․지역․학문적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101호 / 161 ~ 196페이지
    · 저자명 : 안세현

    초록

    본고는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절의지사인 교우(膠宇) 윤주하(尹胄夏, 1846∼1906)의 절의 실천과 이를 추동한 연원을 다각도에서 고찰한 것이다. 윤주하는 이황으로부터 이진상으로 이어지는 주리론의 학맥을 잇는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학자였다. 또한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상소문을 작성하여 을사오적의 처단을 강력하게 요청한 절의지사였다. 본고에서는 윤주하가 절의를 실천할 수 있었던 연원을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파평윤씨 가문의 충의 전통이다. 윤주하의 선조 중에 윤경남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서 왜적과 싸웠으며, 윤상거와 윤탕로는 영조 연간 무신란 때 관군을 도와 반란군을 진압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둘째, 거창 지역이 지닌 절의 정신의 계승이다. 윤주하는 문위와 정온을 흠모하였는데, 특히 병자호란 이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춘추대의를 지킨 정온을 따르고자 하였다. 셋째, 학문적 연원으로 주리론의 현실개혁적 성향과 절의 실천에서 ‘의리지용(義理之勇)’의 함양이다. 윤주하는 이(理)의 자발성과 주재성을 극대화한 이진상의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적극 옹호하며, 일상에서 인간이 지닌 보편적 도덕성을 철저하게 실천하고자 하였다. 또한 윤주하는 절의의 실천을 위해 ‘의리지용(義理之勇)’과 ‘호연지기(浩然之氣)’의 함양을 중요시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영향에 힘입어 윤주하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굳센 기개를 지니고서 불의에 항거하며 절의를 실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attern of Yun Ju-ha(1846-1906)'s practice of righteousness and the origin of this. Yun Ju-ha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ho connected the Jurist theory(主理論) from Yi Hwang to Lee Jin-sang. In addition, when Eulsa Neugyak was signed in 1905, he was a patriot who strongly requested the punishment of the Eulsa five enemies by writing an appeal. I discussed the origins of Yun Ju-ha's ability to practice righteousness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the practice of loyalty of the Papyeong Yoon family. Among Yoon's ancestors, Yun Gyeong-nam raised an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and Yun Sang-geo and Yun Tang-ro played a major role in suppressing the rebels by helping the government forces during the rebellion of Lee In-jwa, which occurr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Second, it is the tradition of practice righteousness by the Geochang region. Yun Ju-ha admired Munwi and Jeong-eon as a person who practiced righteousness in Geochang, especially he tried to follow Jeong-eon of protecting the chunchudaeui while staying in Geochang after the Byeongja Horan. Third, Yun Ju-ha actively defended the mind itself is rincile(心卽理) claimed by Lee Jin-sang and tried to thoroughly practice the universal morality of humans in daily life. In addition, he placed importance on the cultivation of courage to practice righteousness(義理之勇) and great spirit(浩然之氣) for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On the back of these origins, Yun Ju-ha was able to practice righteousness by resisting injustice with strong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