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尹鑴의 事天意識과 尙古的 時代認識 (Yoon Hyu’s Idea of Heaven Worship and His classical Understanding of the Timesin the 17th centu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17세기 尹鑴의 事天意識과 尙古的 時代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9호 / 9 ~ 35페이지
    · 저자명 : 이선아

    초록

    尹鑴는 주자학의 나라 조선에서 주자학을 어지럽히는 적, 斯文亂賊으로 규정된 학자였다. 그는 주자학을 부정하지 않았지만 ‘古禮’와 ‘六經’을 연구하여 原始儒學의 본연을 찾으려는 ‘古學’에 심취하였다. 그는 ‘고학’을 공부하면서 주자학의 理法的 天이 아닌 인격적 上帝를 만나게 된다. 윤휴가 만난 상제는 인격적 종교성을 갖는 주재자로 인간에 感應하고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여하는 존재였다. 때문에 천하질서가 어그러진 胡亂과 庚申大饑饉과 같은 ‘재앙’을 멈추기 위해서는 상제의 뜻이 이루어져야 하며, 제왕은 상제의 뜻을 실천해야 하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윤휴의 상제의 대리자로서의 제왕에 대한 인식은 복제를 둘러싼 논의에서 제왕을 위한 복제로 斬衰三年服을 주장한 데에 잘 드러나 있다. 그가 어머니를 신하로 삼는다[臣母說]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참최삼년복을 주장한 것은 제왕을 상제를 대신하는 至尊으로 인정하는 ‘尊君’의 명분에 입각한 것이었다. 참최삼년복은 혈연적 관계에 구속되지 않는 상제의 명령을 수행하는 지존으로서의 제왕을 인정하는 복제이었다.
    ‘존군’의 명분과 함께 윤휴가 평생 품었던 마음은 ‘雪恥’였다. 오랑캐로 여겼던 청과 전쟁에서 패배하고 청과 군신관계를 맺어야 하는 현실은 윤휴에게도 커다란 충격이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윤휴 역시 ‘復讐雪恥’를 다짐하며 과거를 접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윤휴는 효종 연간에 출사할 기회가 있었지만 山訟에 연루되는 등 사정으로 무산되었다가 숙종 초년 대륙정세의 변화를 上帝가 주신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하고 북벌을 명분으로 출사하였다. 북벌에 대해 당시 조정의 인사들은 미온적으로 생각했지만 윤휴에게 북벌은 天과 감통하는 帝王이 실현해야 하는 국가적 시무였다.
    이와 같이 윤휴는 古學 연구에서 주자학의 이념적 天을 대신할 上帝를 재발견하여 유학의 종교성을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상제와 인간이 감응하는 실천적 삶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Yoon Hyu(尹鑴) conflicted with Song Si Yeol(宋時烈) o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Because Yun Hyu absolutely didn’t trust the teachings of Chu-tzu(朱子), Song Si Yeol didn’t allow his academic tendency and declared him a heretic. He regarded Six Confucian Classics(六經) as more Important thing than Four Confucian Books(四書) while Song Si Yeol on the contrary.
    Studying Six Confucian Classics, he came to realize personal God, Shang Ti(上帝), not natural law of the teachings of Chu-tzu. Shang Ti in Six Confucian Classics is personal being who is involved in the world of human beings and gives them the reward and punishment and the happiness and misery of life. The king on the ground is a being who realizes Shang Ti's command and will.
    He thought the king as a extremely dignified being who is a representative of Shang Ti governing the world. So at the moment Mourning Ritual Disputes, he insisted the king wear mourning for three years. ‘The period of wearing mourning’ became the political issue because it was related to authority of the dead. For this reason, the Westerners Faction(西人) criticized him for bringing up the political issue.
    Furthermore, he argued for attacking the Qing Dynasty overthrowing the Ming Dynasty. He attempted to assault the Qing with a chance of the complex international situation caused by the rebellion of Wu Sankuei(吳三桂). Since he thought a famine and a plague arising from natural disaster as Shang Ti's caution, he believed that these disasters can be halted if human executed Shang Ti's will. But the conquest of the North was a proposition of Shan Ti the king should fulfill.
    Thus he rediscovered Shang Ti with studying Confucian Classics and tried to recover religionism of confucianism by emphasizing Shang Ti-human induction and practic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