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무용교육에서 무용전공자의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Study on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Majors and Perception of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7.07
18P 미리보기
유아무용교육에서 무용전공자의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과학회지 / 34권 / 3호 / 27 ~ 44페이지
    · 저자명 : 윤혜선, 김예진

    초록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범위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 활동한 경험이 있고,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173명을 대상으로 유아무용교육 시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여 설문지 제작과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무용을 지도하는 무용전공자의 활동형태를 분석한 결과, 무용 전공 중 한국무용 전공자가 유아무용지도자로 가장 많이 활동하며, 무용학원보다는 문화센터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위주로 유아무용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 활동의 유형으로는 발레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무용교육을 위한 무용전공자의 지도방법 연구에 대한 노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무용지도를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보다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무용전공자는 수업교구의 사용을 선호하며, 놀이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전공자의 수업계획서 준비와 교재활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창의적으로 수업방법을 개발하여 지도하기보다는 해당 교육 기관에서 제시한 수업계획서 내용에 의존해서 지도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무용전공자들은 유아무용 지도과정에서 수업계획 및 활동내용과 수업 진행과정에서 필요한 지도자의 역할과 노력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수업 진행에 대한 평가 기준의 설정이나 전체적인 수업 평가를 위한 지도자로서의 노력은 거의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무용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 및 적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많았으나,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부담감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부담감으로 느끼는 내용은 ‘지식 및 경험의 부재에 대한 부담감’, ‘창의적 시도에 대한 부담감’,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전공자들이 통합예술교육 활동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는 것은 발레를 기반으로 하는 영어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교육현장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서 지도형태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 type and perception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73 dance majors in various colleges who had experienc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to make a survey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ivities of dance majors who instruct dance for early childhood,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majors are the most active dance instructors among dance majors as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dan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performed mainly in cultural cent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ather than at dance academy. In addition, dance majors preferred ballet as a type of dance activity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nce major’s efforts to study instruc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it showed that there are more dance majors who are not certified than those who are certified. It was found that dance majors preferred to use class teaching aids and tended to use play tools th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aration of the lesson plan and the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dance majors, it was found that it tended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lesson pla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developing and teaching the lesson creatively. Dance maj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sson plans, activities, and the roles and efforts of the instructo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instru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barely make efforts as an instructor for the setting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lass or for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cla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ance majors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possible application types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more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necess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felt a lot of pressure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terms of burdens, they were in the order of 'burden for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burden for creative attempts', and ‘burden for class preparation.’ It showed that ballet-based English activities are the most commo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instruction typ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