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시대적 맥락 -광해군代 기자헌과 유몽인의 기억을 중심으로- (Memory and empathy for Kim Si-supin the context of the times -Focusing on the memories of Kee Ja-heon(奇自獻) and Yoo Mong-in(柳夢寅) during the Gwanghae-gun(光海君) perio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09
39P 미리보기
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시대적 맥락 -광해군代 기자헌과 유몽인의 기억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9호 / 183 ~ 221페이지
    · 저자명 : 강창규

    초록

    본고는 광해군 시기에 있었던 梅月堂 金時習에 대한 기억들을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조선후기 서인-노론에 의해 가려져 있던 ‘잠복된 기억’의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억이라는 용어는 기억주체가 살고 있던 시대적 맥락을 읽어보려는 노력일 뿐만 아니라 기억주체의 속내까지 들여다보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김시습을 깊이 추억하고 공감했던 奇自獻과 柳夢寅의 속마음까지 느껴보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다. 현재 광해군 시기를 중심으로 한 김시습에 대한 기억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고, 북인계 인물들에 대한 연구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일정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李珥는 김시습을 유가의 인물로 강하게 끌어오면서, 절의를 세우고 윤기를 붙드는 백세의 스승으로 추앙하며 心儒迹佛이라고 표현하였다. 하지만 ‘이자→윤춘년→이산해→기자헌․유몽인’으로 이어지는 김시습에 대한 기억은 유ㆍ불의 면모가 공존하고 있었음을 인정하면서 그 속에 담긴 방황과 울분의 실체를 遠遊와 抗志의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자가 말한 行儒迹佛은 유ㆍ불의 모습 모두를 긍정하고 그 속에서 다시 김시습을 사유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에 기자헌은 『매월당시사유록』을 편찬하면서 김시습의 불교적 면모도 꺼리지 않고 수용하였고, 유몽인도 『어우야담』에서 김시습의 다양한 면모를 수용하면서 그 속에 담긴 항거의 정신을 특별히 주목하여 읽어내었다.
    기자헌과 유몽인은 젊은 시절부터 김시습의 원유와 정신세계에 주목하였고, 그들의 삶 속에 이를 녹여 실천하였다. 절의는 한 임금(단종, 광해군)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것이고, 저항은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권력(세조, 인조)에 영합하지 않는 것이다. 저항의 길은 왕조국가에서 위험천만한 선택이다. 그러나 기자헌과 유몽인은 인조정권에 가담하지 않겠다는 뜻을 확고히 함으로써 그 저항정신을 온전히 보여주었다. 그것은 절의와 저항의 면모를 모두 가지고 있던 김시습에 대한 깊은 연민과 공감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유몽인은 사후 170여 년이 지난 정조 시대에 와서 비로소 복관되고, 기자헌 역시 재평가 움직이 보인다. 김시습이 후대에 절의의 상징으로만 이해되고 말듯, 그들도 이런 절의의 논리에 힘입어 다시 평가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아이러니처럼 보인다. 지금 현재의 연구도 마찬가지다. ‘방외의 전형’, ‘절의의 상징’으로 획일화시켜서는 그의 복잡다단했던 실제 行步와 志趣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mories of the Kim Si-seup(金時習) during the Gwanghae-gun(光海君) period, and attempts to examine one part of the "hidden memories" that were covered by Seoin-Noron(西人-老論)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mory is not only an effort to read the context of the times in which the memory subject lived, but also an attempt to look into the inside of the memory subject. Currently, there has been no memory study on Kim Si-sup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and sinc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Book-in(北人) characte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certain meaning.
    Lee-lee(李珥) strongly attracted Kim as a figure of Confucianism, revering him as the best teacher, and expressed it as Sim U Juck Bul(心儒迹佛). The 行儒迹佛 mentioned by Lee Sa(李耔) was to affirm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o think again of Kim Si-sup in it. The memory of Kim Si-sup, which leads to ‘Lee Sa→Yoon Chun-yeon(尹春年)→Lee San- hae(李山海)→Kee Ja-heon(奇自獻), Yoo Mong-in(柳夢寅)’, acknowledges that Confucianism and Buddhism coexisted.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wandering and resentment in terms of ‘Won U(遠遊)’ and ‘Hang Ji(抗志)’.
    Kee Ja-heon and Yoo Mong-in paid attention to Kim Si-seup's Won U and thoughts from their youth, and practiced this in their lives. Juleu(節義) is to keep one's beliefs for one king (Danjong(端宗), Gwanghae-gun), and resistance is not to go with unjust power (Sejo(世祖), Injo(仁祖). Kee Ja-heon and Yoo Mong-in fully showed their spirit of resistance by affirming their intention not to join the Injo regime.
    They are finally reevaluated at the time of King Jeongjo(正祖), 170 years after his death. It is ironic that, as Kim Si-sup was later understood only as a symbol of Juleu, they are also being evaluated again thanks to this logic of Juleu. If the current research is uniformized into 'Bang Oe(方外)' and 'Juleu', it will not be possible to properly understand complex behaviors and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