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通園 兪晩柱의 史書 편찬 기획 및 실행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ographical Planning and Execution of Yū Manju)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5.04
40P 미리보기
通園 兪晩柱의 史書 편찬 기획 및 실행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82권 / 82호 / 115 ~ 154페이지
    · 저자명 : 오찬미

    초록

    본 연구는 『흠영』에 기록된 사서 편찬 기획을 주목하여 그 속에 담긴 유만주의 역사학적 지향을 통시적으로 살피는 동시에, 그가 실제로 역사서를 편찬한 양상이 어떠했는지 기록을 통해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유만주의 사서 편찬 기획은 그의 필요와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구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중에서도 특히 『삼고계첩』과 『삼강』은 주목을 요하는데, 다른 경우와 달리 단순한 기획을 넘어 실제 집필 작업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특히 역사학자로서 유만주가 『삼강』에 부여한 중요성과 의미는 상당한 정도였는데, 기본적으로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을 따르고자 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성리학적 역사관을 따라 강목체 사서를 위주로 했던 그의 역사학적 지향이 드러난다.
    초기에 중국사와 강목체 위주의 사서를 기획했던 유만주는 후기에 들어서자 동국사로 관심을 넓히고, 기사본말이나 인물전집 등 다양한 사서 편찬 체제를 구상하면서 강목체 위주이던 초기의 경향성을 벗어나 확장된 면모를 보인다. 특히 『사기』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입장을 수정하고 그 역사학적 가치를 인정한 점이 사서 편찬 기획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어 주목된다. 그러는 한편 초기부터 진행해 온 강목체 사서의 탐구와 편찬 작업도 계속 이어가면서 그 깊이를 더해갔는데, 그래서인지 후기에 기획된 사서들은 실제 편찬으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유만주가 사학에 몰두한 근본적인 동기이자 궁극적인 지향점은 다름 아닌 ‘좋은 책을 편찬하여 후세에 이름을 남기는 것’에 있었다. 그가 『삼강』을 비롯한 수많은 방대한 역사서들을 기획한 것은 이러한 정신적 환경에서 기인한 바가 크며, 그가 살던 18세기의 박학적 학문 경향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정신적・시대적 환경 속에서 유만주는 꾸준히 역사학에 몰두하여 자기 쇄신의 궤적을 그려갔으며, 끝내 성리학적 사관 중심성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Yū Manju's historical orientation contained in Heumyeong in a diachronic manner, and to empirically reveal the actual process and aspects of how he compiled historical texts based on available records.
    In the early days, the historiographical projects conceived by Yū Manju seems to have been conceiv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his needs and interests. Among these, Samgogyecheop and Samgang stand out as particularly significant because, unlike other projects, these were not just simple plans but were actually carried out to a meaningful extent. Notably, Yū Manju placed considerable importance on Samgang, and his commitment to it reveals a strong adherence to traditional Neo-Confucian historical views, as he primarily followed Zhu Xi’s Zizhi Tongjian Gangmu and favored the use of the Gangmu-style historiography.
    While Yū Manju initially focused on Chinese history and Gangmu-style historical writing, by his later years, his interests expanded to include the history of the Eastern Kingdom(Dongguk), and he began to conceive of various types of historical works, such as annals and biographical collections. This shift reflects a broadening of his historiographical scope, moving away from the Gangmu-focused approach of his early work. Notably, Yū Manju revised his earlier negative stance on Shiji, recognizing its historical value, which is evident in his later historiographical plans. Meanwhile, his ongoing exploration and compilation of Gangmu-style historical texts continued to deepen, so the later historiographical projects he planned did not lead to actual compilation.
    Yū Manju’s fundamental motivation for his dedication to historiography, and his ultimate aim, was to compile good books and leave a name for posterity. His planning of numerous large-scale historical books, including Samgang, stemmed largely from this spiritual environment, and is also related to the erudite academic trend of the 18th century when he lived. Within this spiritual and historical context, Yumanju consistently pursued historical study, creating a trajectory of self-reform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he eventually escaped from the Neo-Confucian philosophy centr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