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이상적 여성상 -申緯의 경우를 중심으로- (The ideal female view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Castle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case of poet, Shin Wi-)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09.06
38P 미리보기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이상적 여성상 -申緯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18호 / 351 ~ 38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일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이상적 여성상을 당대의 대표적 시인인 申緯(1769~1847)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우선 신위가 남긴 <詩境圖>의 <背後像>에 대한 기록과 그 題詩를 통해서 그의 마음속에 간직한 이상형은 宋代 李淸照로 대표될 수 있음을 밝혔는데, 이청조가 선택된 것은 탁월한 문예적 재능과 학문적 능력, 여성적 매력은 물론 고동서화에 대한 취미를 같이 누릴 수 있는 동반자를 원했기 때문이다.
    자하의 이러한 관점은 일정 부분 淸代 江南 지역의 문인들과의 교유에서 영향 받은 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지방의 여성 문인들이 당대의 저명한 남성 문인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특히 자하와 교유했던 吳嵩梁과 陳文述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자하가 이러한 경향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었는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조선후기 경화세족들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정밀한 이론체계를 구축하거나 心性 수양에 힘쓰는 것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보다는 博學하려고 애쓰면서도 詩ㆍ書ㆍ畵 같은 예술 취향에 몰입하고, “存天理, 遏人慾”을 주장하기보다는 차라리 삶에 대해 曠達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가급적 인생의 이런 저런 즐거움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 근원적인 道를 탐구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사물과 技藝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경화세족들의 이러한 성향은 그들의 女性觀에도 반영되었는데, 경화세족들 마음속의 이상적인 부부상은 趙明誠과 李淸照, 趙孟頫와 管道昇, 아니면 錢謙益과 柳如是이었다. 곧, 배우자에게 요구하는 것이 단순한 美貌나 婦德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과 학문에 대해서 본인에 필적하는 재능과 지식을 갖추기를 바라는 것이며, 자신이 서재에서 느끼는 즐거움을 함께 할 수 있는 동반자를 찾은 것이다. 만약 許蘭雪軒이 이 시대에 태어나 활동했더라면 훨씬 더 행복한 삶을 살았을 터인데, 실제로 신위는 조선 시대 내내 논란이 분분했던 허난설헌을 시종 옹호하는 입장이었다. 다만, 조선의 경우 이런 인물을 양반가에서 구하기는 매우 어려웠으므로, 그들의 관심은 기녀들에게 쏠릴 수밖에 없었고, 19세기 전반기 서울에서 “三湖亭詩社” 또는 “雲楚 그룹”으로 명명된 기녀 출신의 소실들이 벌였던 문학 활동 역시 이러한 배경에서 가능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lanned to survey ideal female view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Castle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For starters, I recognize Shin Wi(申緯)'s ideal female image is Li Qingzhao(李淸照) style through his oriental painting work "Background Image(背後像)" in “Sikeyongdo(詩境圖)”, that is poetic imagination in oriental painting.
    He admired her, because she has excellent literary talent, scholastic ability, and female attraction. Furthermore, he wanted her type, because he was hoping for a curioso female companion who shares his tastes for old curios and oriental paintings with himself.
    In this respect, he seemed to be influenced by men of letters who lived in near to Southern Yangzi River in Qing Dynasty. so I surveyed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women of letters and men of letters who lived in this province through corresponding with his penpals, Wu Songlinag(吳嵩梁) and Chen Wenshu(陳文述).
    The nobilities in Hanyang Castle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were little interested in constructing precise systemic theory of life and nature, and in cultivating mental cultures. Rather, trying to have pedantic attention to detailed knowledge, they were interested in artistic tastes such as poetry, oriental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rather than assert to seek the key to life in the working of divine providence and keep their eyes off the lust, they sought quasi-Epicureanism. Rather than study original Tao-Way to philosophy-, they were interested in concrete things and arts.
    Such trend in the nobilities in Hanyang Castle was reflected in therir feminine view. Their ideal married couples were Zao Mingcheng(趙明誠) and Li Qingzhao, Zao Mengfu(趙孟頫) and Guan Daosheng(管道昇), or Qian Qianyi(錢謙益) and Liu Rushi(柳如是). The emotional demands toward their wives were not simply the physical beauty or womanly virtue, but artistic talent and erudition. If Heo Nanseolheon(許蘭雪軒) had lived in this period, she would have led a far more happier life. Actually Shin Wi apologized her for way of life, which was laughed at by moderate nobilities in late Chosun Dynasty. In the case of late Chosun Dynasty, it was impossible for the nobilities to find such ideal wives. Therefore, they naturally sought for kinyeo(妓女) who were excellent in poetry, painting, and instrumental music playing. The creative literary activities of kinyeo concubines, who were called Samhojeong Sisa(三湖亭詩社) or Uncho(雲楚) group, were originated from this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