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Types of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Hom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navig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9
21P 미리보기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적장애연구 / 13권 / 3호 / 205 ~ 225페이지
    · 저자명 : 신재한, 권택환

    초록

    본 연구에서는 'KADO-WAH 3.0'이라는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및 장애 유형별로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장애 유형별 웹 접근성 준수율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중에서 장애 유형별로 시각 장애 6개 학교, 청각 장애 9개 학교, 정신 지체 장애 8 개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8개 학교, 발달 장애 18개, 중복 장애 6개 학교 등 총 55개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KWCAG 1.0) 총 4개 영역 18개 항목 중에서 자동적으로 평가 가능한 9개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KADO-WAH 3.0'의 평가마법사를 이용하여 국내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을 적용하여 깊이 제한 10, 최대 페이지 수 100으로 설정하여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라 웹 접근성 영역 및 항목별로 준수율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낮은 웹 접근성 준수율을 보이는 영역 및 항목을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별로 특수학교의 웹 접근성의 평균 준수율은 다른 장애 유형 특수학교에 비해, 시각 장애 학교, 청각 장애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학교에서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른 맞춤형 웹 접근성 지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등이 비장애인 등과 동등하게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연 1회 이상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확인하는 행․재정적인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설계자 및 운영자, 웹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관한 웹 접근성 향상 국가표준 기술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을 개발하고 안내해 주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KADO-WAH 3.0' using a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type of disability can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The issue of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by disability type should be derived as well as suggestion of concrete ways to improv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national special schools by types of disability among the following: six schools for the blind, nine schools for the deaf,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handicap,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18 school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ix for those with multiple disabilities. A total of 55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he home page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KWCAG 1.0). A total of 18 entries from four regions sentence fragment automatically rate and were available only for nine items. Specific evaluation methods 'KADO-WAH 3.0' which is the wizard of the ratings using the local special school for the Korean web site accessibility guidelines limit the depth of ten. The maximum number of pages to 100 were to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of a special school site improvement pla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when present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by type and by topic area, because they had much of a difference in compliance,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seems to lower the priority areas and topics, and require intensive modification and supplements. Second, the failure of the special schools by type of Web access to a special school, the average compliance rate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y, blind schools, deaf schools, and school failure in handicapped appeared lower because of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type customized according to a special school.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eb accessibility guideline. Third, regardless of the handicapped or not, they are equally free to access to the site and constantly checking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nce a year and to identify the row. Financial support measures must be taken. Fourth, the web site is designed and operated by designers and operators, developers of Web content to the site required a special school o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Manual of Standards and Technology to enhance national development that should guide yo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