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 DSM-5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Web-based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0.12
9P 미리보기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 DSM-5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신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신체의학 / 28권 / 2호 / 185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혜린, 곽경화, 이유경, 한수완, 김율리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섭식장애 진단척도 DSM-5 (Korean version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K-EDDS)를 웹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 법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38명)와 대학생(81명)을 포함하여 총 119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지필 섭식장애 스크리닝 검사인 Sick, Control, One, Fat, Food (SCOFF) 후 별도의 사이트에서 웹 기반 K-EDDS,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naire, EDE-Q), 임상손상평가(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를 작성했다. SCOFF 점수가 2점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ED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 후 2주 이내에 웹 기반 K-EDDS, EDE-Q, CIA를 재실시하였다.
    결 과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체불만족, 폭식행동, 폭식빈도, 보상행동의 4 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총 분산의82.4%를 설명하였다. 웹 기반 K-EDDS의 4개 하위요인은 EDE-Q의 4개 하위요인과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수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Cronbach’s alpha=0.93). 웹 기반 K-EDDS와 EDE의 진단 일치도는96.83%, 웹 기반 K-EDDS의 검사-재검사 진단 일치도는 92.86%로 우수하였다. 웹 기반 K-EDDS와 CIA에서환자군과 정상군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본 척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K-EDDS는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DSM-5를 기반으로 한 섭식장애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erify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is Scale DSM-5 (K-EDDS) as a web-based diagnostic system, which enables rapid diagnosis of patients for early intervention.
    Methods:A total of 119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38) and college students (n=81). Along with the paper-and-pencil SCOFF,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web-based K-EDDS,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aire (EDE-Q), and the 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EDE)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with two or more SCOFF scores. Within two weeks, the web-based K-EDDS, the EDE-Q, and the CIA were re-tested.
    Results: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 body dissatisfaction, binge behaviors, binge frequency and compensatory behaviors. The four subscales of the web-based K-EDD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f the four subscales of the EDE-Q.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web-based K-EDDS was highly satisfactory (Cronbach’s alpha=0.93).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the web-based K-EDDS and the EDE was excellent (96.83%), and the web-based K-EDDS’s test-retest diagnostic agreement was fairly good (92.86%). The web-based K-EDDS and the CIA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general population, supporting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s: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web-based K-EDDS is a valid tool for assisting diagnosis of eating disorders based on DSM-5 in clinical and research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신체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