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영화 프로모션 웹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Film Website Desig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5
12P 미리보기
한국영화 프로모션 웹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31호 / 349 ~ 360페이지
    · 저자명 : 김희준

    초록

    한국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은 한국영화는 양과 질적인 상승으로 인해 할리우드영화 속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갖는 세계 어느 곳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한국만의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화산업이 발달하면서 점차적으로 무한경쟁시대에 돌입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영화홍보시장에서 영화 웹사이트는 필수적인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한국영화홍보 웹사이트는 네티즌에게 다양한 영화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적인 영화 콘셉트와 스토리텔링, 그리고 비주얼디자인으로 접근하여 영화의 느낌과 감각을 확대하였다. 또한 관객의 문화적 체험을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유함으로써 공간의 확장을 가져왔다. 감각과 공간의 확장은 현실과 가상세계를,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동일시하는 네티즌의 사고전환과 미디어에 대한 개념변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로 영화 웹사이트는 사이버 체험공간으로 네티즌이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 상에서 대중문화인 영화와 개인의 심상이 결합하여 독특한 경험과 감동을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영화 웹사이트를 통한 감동과 경험이 관람으로 이어지는 순환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 웹사이트는 영화정보와 감성이 통일된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네티즌과 함께 상호교감을 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영화 웹사이트는 다양한 미디어와 문화가 모여 형성되고 감동과 느낌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감성적 가상체험공간으로 이해되어야 된다. 또한, 이러한 개념과 특성에 부응하는 영화홍보 웹사이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영화 웹사이트가 지속적인 우위를 갖기 위한 물리적 특성인 영화 웹사이트의 레이아웃, 인터페이스 등의 비주얼디자인적인 요소를 알아보고, 영화 콘셉트, 스토리텔링 등의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여 영화가 가져야 할 문화적 특성과 개인의 심상이 융합하여 감동과 경험을 창출하는 합리적인 한국영화홍보 웹사이트의 디자인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oday, the South Korean cinema is successfully settled as the center of the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with the significant development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its production. Having faced the onslaught of Hollywood as other national cinema industries, the higher share of the South Korean cinema is emphasized as a rare phenomenon internationally.     As the growth of the South Korean cinema industry, it creates an infinite competition followed by rushing in making its unique website as marketing tool for each movie in the film market. In today, the promotional website for the South Korean cinema is capable of expanding one’s dimension or aspect and perception. Furthermore, it has expanded emotion and senses through providing varied film information, sensitive concept, storytelling, and visual design to the netizen.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sensation and space brings changes on the netizen’s thoughts and the media itself followed by the netizen’s tendency of identifying the real to virtual world and offline to online.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netizen can be so easily put themselves into cyber experience space through the promotional film website creating distinctive experience and impression by combining both individual’s mental picture and the cinema as the popular culture throughout the internet. Then it functions a circulation of sensation and experience over the film website.
    Therefore, the promotional film website should be recognized as unified organic body consisted of the various information and sensibility. Furthermore, it should have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netizen. Namely, the website must be understood as a sensitive cyber experience space where people meet various media and culture. Also, it must be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the promotional film website with a concept and property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South Korean film website consisting of its visual elements of layout and interfac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film concepts and storytelling by analyzing a reasonable design approach of the website, should promote the film in creating successful harmony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dividual images for its continuation of primary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