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미디어 사용장소별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분석 논문접수일: 2019년 02월 01일 최종수정일: 2019년 03월 18일 게재확정일: 2019년 03월 21일 「유라시아연구」, 제16권 제1호(통권 제52호) 2019.3.pp.131-146 (사)아시아・유럽미래학회 https://doi.org/10.31203/aepa.2019.16.1.006 (Impact Analysis on Usage Time by Media Usage Location in Kore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9.03
16P 미리보기
한국의 미디어 사용장소별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분석 논문접수일: 2019년 02월 01일 최종수정일: 2019년 03월 18일 게재확정일: 2019년 03월 21일 「유라시아연구」, 제16권 제1호(통권 제52호) 2019.3.pp.131-146 (사)아시아・유럽미래학회 https://doi.org/10.31203/aepa.2019.16.1.006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16권 / 1호 / 131 ~ 146페이지
    · 저자명 : 서영수

    초록

    최근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면서 미디어패널 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2016년 기간 동안의 미디어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주거공간, 교통수단, 직장, 식품접객업시설, 상거래시설로 구분하여 미디어 사용 장소별 이용시간에 미치는 행태를 분석하였다. 우선 사용 장소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거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을수록 TV매체와 스마트폰매체 이용시간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TV시청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위(채팅/메신저/SNS)시간이 증가하였다. 교통수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면 음악을 청취하는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직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면 업무상 통화나 문자메시지 이용시간이 증가하였다. 또 식품접객업 시설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PC매체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들어 카페에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PC매체를 이용하는 현상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상거래 시설의 경우 주거공간과 유사하게 TV 및 스마트폰 매체 이용시간이 증가하였고, 그와 함께 TV시청이나 SNS이용시간, 통화시간도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매체별 이용행태를 요약하면 최근 일상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매체의 미디어 파급력이 기대했던 것보다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서처럼 스마트폰 매체의 경우 모든 회귀계수가 양수(+)이며, 그 중 교통수단의 값이 가장 크다. 이는 교통수단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스마트폰 매체 이용시간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장소별 이용행위도 크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는데 주거공간에 머무를수록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많아 졌고 TV시청을 제외한 다른 매체나 행위는 비교적 이용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스마트 폰의 사용 확산으로 채팅, 메신저 및 SNS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최근 혁신적인 정보통신기기 출현이 지속되면서 주거공간, 직장 그리고 식품접객업 시설에서 PC매체의 이용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식품접객업시설에 오래 머무를수록 휴대가 가능한 PC매체와 이를 통한 채팅, 메신저의 이용시간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소비자가 카페, 식당 등 식품접객업 시설을 찾아 갈 때 매체 이용공간 존재여부가 장소 선택기준이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중교통이나 개인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음악을 자주 들으며 그 외의 장소에서는 교통수단만큼 많이 듣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장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인 지하철에서 거의 모든 승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이어폰을 귀에 꽂고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을 통한 음원산업 확대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지나치게 청각을 사용함으로써 난청 등 사회적 부작용 등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와 시사점에 기초하여 시간과 장소에 따라 미디어 선택과 이용행태를 세분화하여 분석한다면 마케팅 등 제반 비즈니스 분야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통화, SMS, SNS 등 복잡다단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사용자가 어느 시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as the use of smart-phones in Korea has spread rapidly, research on media panel data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 of media use time by dividing into residential space, transportation, workplace, food hospitality facility, and commercial facility using media panel data from 2011 to 2016.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use place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re time you spend in a residential space, the more time you spend on TV media and smart-phone media,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hours you watch and use smart-phones (chat/messenger/SNS). As the time spent staying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reased, the time to listen to music increased, and as the time spent staying at work increased, the time spent on business calls and text messages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time spent staying in the food and hospitality facilities increased, the use of PC media and smart-phones increased. In recent years, many people in cafes have been using smart-phones or using PC media. In the case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use time of TV and smart-phone media increased similar to the residential space, and TV viewing, SNS usage time and call time also increased. Next, we summarized the usage behavior by media, 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 ripple power of smart-phone media, which has been becoming commonplace recentl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xpected. As the analysis shows, all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re positive (+) for smart-phone media, among which the value of transportation is the largest. This means that the more time you us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ore time you use the smart-phone media. In addition, the use of smart-phones has changed greatly due to the use of smart-phones. The more time you stay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more time you use smart-phones, and the less you use other media or activities except TV viewing. In addition, the use of smart-phones has shown that chatting, messenger and SNS are also used regardless of location. First, as the recent emergence of innovat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continues, the use of PC media in residential spaces, workplaces, and food and hospitality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the longer the food and hospitality facilities are, the more mobile PC media, chatting through them, and the more time the consumer can use the restaurant. Second, most people listen to music frequently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personal transportation, and do not listen as much as transportation in other places. In the subwa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lmost all passengers can see their earphones plugged into their ears through smart-phones, suggesting that the positive aspect of expanding the sound source industry through smart-phones and excessive hearing can cause social side effects such as hearing loss. Based on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the analysis of media selection and usage behavior can be used more systematically in various business fields such as marketing, and a way to effectively use complex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calls, SMSs, and SNS in any time and space can be der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