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월 경산의 수행과 지계 (Hagwŏl Kyŏngsan’s Practice and Discipli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08
28P 미리보기
학월 경산의 수행과 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2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자랑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학월 경산의 삶을 ‘지계(持戒)’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경산은 일제강점기와 불교정화운동 등 불교계 내외가 극심한 혼란에 처해 있을 때 네 번씩이나 총무원장으로 선출되며 종단의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에서도 중심을잃지 않고 지계를 통해 한국불교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는 계율이야말로 선과교를 안착시키는 기반이며, 교단을 지탱하는 한국불교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입장은 그가 젊은 날 경험했던 한국불교의 상황과 이를 계율의수지를 통해 극복하고자 했던 당대의 고승들로부터 받은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범망경』에서 설하는 심지계를 자성·불성을 개발하기 위한 수단이자 궁극적으로수행을 완성하여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중시하는 한편, 구족계나 청규, 그리고염불 수행을 통한 신구의의 청정 수행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지계행에 관심을 갖고 수지하였다. 지도자로서는 구성원의 화합과 자율을 강조하였다. 지계를 바탕으로 승가가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세간의 법정에서 다투지 않고 승가의 구성원이 서로 의견을 조율하며 화합하는 불국토를 만드는 것이 경산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정화의 완성이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Hagwŏl Kyŏngsan’s life was considered with a focus on the ‘discipline’. Kyŏngsan was elected as the executive chief four times during times of extreme chaos inside and outside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served as the leader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He had a strong belief that precepts are the foundation on which Zen(禪) and Teaching(敎) are established, and that they a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that supports the denomination. This position is presume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he experienced in his youth and the high priests of the time who tried to overcome it through the balance of the precepts. He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spiritual realm preached in Brahmāʼs Net Sūtra as a means for developing self-nature and Buddha-nature and ultimately leading to enlightenment by completing the practice. As a leader, he emphasized the harmony and autonomy of the members. Kyŏngsan’s ultimate goal of purification was to create a Buddhist land where the monks operate autonomously based on the discipline, and the members of the monks coordinate their opinions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without arguing in the courts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