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재사고로 화학물질에 노출된 소방공무원의 건강영향 (Health Impact of the Fire-induced Chemical Accident for Firefighter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0.06
8P 미리보기
화재사고로 화학물질에 노출된 소방공무원의 건강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위험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위험물학회지 / 8권 / 1호 / 18 ~ 25페이지
    · 저자명 : 남해권, 윤영수, 이정하, 고순정, 안연순

    초록

    On APR 2018, a chemical/fire accident occurred due to static electricity spark during chemical filling process resulting in one injury, potential patients and destruction of the factory complex at a chemical factory in Incheo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tmospheric sampling; and to investigate health impacts in firefighters. The baseline and aftermath atmospheric sampling was carried out at 14 spots. Health impac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114 firefighter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Lung function test was implemented in three subjects. The atmospheric sampling identified 14 chemicals including dichloromethane (239.36ppb), toluene (43.01ppb), methyl chloride (33.47ppb) and etc. 88/93 (94.6%) were male and mean age was 41.5 years old. 44 reported 157 symptoms including 31 respiratory (70.5%), 26 olfactory (59.1%), 20 ocular (45.5%) symptoms. Continued symptoms were 21 respiratory (47.7%), 18 olfactory ( 40.1%), 15 ocular (34.1%) symptoms. Identifie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4 PTSD (4.5%), 10 GAD (11.0%), and 16 depression (17.2%). Self-reported exposure levels were ‘normal’ in 19 (20.4%) and ‘high’ in 17 (18.3%) subjects. The lung function test indicated slight shortage (FEV1/FVC=69%, reference value=70%) in 1/3 subjects. In conclusion, large proportion (46.2%) of firefighters reported symptoms and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claimed continu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fter the exposure. Accordingly, the symptoms should be readily investigated and treated in firefighters who responds to a chemical accident.

    영어초록

    On APR 2018, a chemical/fire accident occurred due to static electricity spark during chemical filling process resulting in one injury, potential patients and destruction of the factory complex at a chemical factory in Incheo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tmospheric sampling; and to investigate health impacts in firefighters. The baseline and aftermath atmospheric sampling was carried out at 14 spots. Health impac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114 firefighter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Lung function test was implemented in three subjects. The atmospheric sampling identified 14 chemicals including dichloromethane (239.36ppb), toluene (43.01ppb), methyl chloride (33.47ppb) and etc. 88/93 (94.6%) were male and mean age was 41.5 years old. 44 reported 157 symptoms including 31 respiratory (70.5%), 26 olfactory (59.1%), 20 ocular (45.5%) symptoms. Continued symptoms were 21 respiratory (47.7%), 18 olfactory ( 40.1%), 15 ocular (34.1%) symptoms. Identifie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4 PTSD (4.5%), 10 GAD (11.0%), and 16 depression (17.2%). Self-reported exposure levels were ‘normal’ in 19 (20.4%) and ‘high’ in 17 (18.3%) subjects. The lung function test indicated slight shortage (FEV1/FVC=69%, reference value=70%) in 1/3 subjects. In conclusion, large proportion (46.2%) of firefighters reported symptoms and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claimed continu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fter the exposure. Accordingly, the symptoms should be readily investigated and treated in firefighters who responds to a chemical accid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위험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2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