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月南寺址 眞覺國師 圓照塔碑의 특징과 양식고찰 (Characteristics and Style of the Stone Stele National Preceptor Jingak at the Wollamsa Temple Sit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03
25P 미리보기
月南寺址 眞覺國師 圓照塔碑의 특징과 양식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7권 / 297호 / 93 ~ 117페이지
    · 저자명 : 신용철

    초록

    탑비는 국사나 왕사에게만 허락되는 일종의 기념비적인 조형물이다. 따라서 탑비 건립에는 여러 가지 절차가 필요하고 또 많은 제자 승려들과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재가진자들의 협력이 있어야 가능했다. 결국 탑비는 당대 최고의 기술이 나타나는 조형물이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 언급한 진각국사(1178-1234) 원조탑비는 개인의 행장을 담은 탑비로서는 2가지 점에서 이례적이다. 첫째, 탑과 비의 건립장소가 다를 뿐 아니라 매우 원거리에 위치한 점이다. 둘째 탑이 건립된 이후 15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었고 무엇보다 고려 중기 이후 급격히 쇠락하는 가운데 뛰어난 기량을 보여준 작품이라는 점이다.
    진각국사 탑비는 고려탑비사에서 가장 변화가 두드러졌던 13세기 중엽, 즉 1250년에 건립되었다. 이 때는 龜趺, 塔碑, 螭首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탑비형식이 해체되고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각국사비는 13세기 이후에 귀부로는 가장 위엄있고 훌륭한 조각양식을 지녀 전성기의 기량을 다시 회복한 작품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같은 시기에 건립된 백련사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탑비 건립이 큰 자극제가 되었다. 또한 탑비 건립에 참여한 기진자 200여명의 지원과 분업화된 작업환경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조형적으로는 다른 고려시대 귀부에서 보이지 않는 용두의 S자형 곡선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온 호남지역의 전통을 계승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비좌의 일월상문을 통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귀부에 비신을 올리는 비석은 중국 남북조시대에 출현하여 당대에 크게 유행하였고, 우리나라는 태종무열왕비에서 최초로 만들어졌다. 이후 9세기 선종불교의 유행과 함께 한국형 탑비의 성립을 이루며 발전해 간다. 진각국사비는 신라하대에 성립하여 고려시대중기까지 제작된 한국형 귀부의 사실상 마지막을 장식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향후 추가적인 자료 발굴을 통하여 현재 결실된 지붕돌의 존재가 확인된다면 고려탑비사의 완벽한 양식적 계보를 완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어초록

    A stone stele is a memorial monument that is erected for a national or royal preceptor. The erection of the stele, which required various procedures, was possible only when pupil monks, lay people and the king approved and cooperated. The stone stele is also a significant work of art that shows the highest level of contemporaneous craftsmanship.
    The stone stele for National Preceptor Jingak (1178-1234), which contains a record of his life and achievements, is a unique example for two reasons. First, not only are the locations for the monk’s stupa and the stele different, they are far apart each other. Second, it took 15 years after the monk’s stupa for the stele finally be erected. It still shows a great level of craftsmanship, even though the Goryeo Dynasty gradually declined after the mid-Goryeo period.
    The stele was constructed in 1250, or the mid-13th century, when the style of stone steles of Goryeo show the most dynamic changes. This was the time when the traditional format of a Goryeo stele, which consists of a turtle-shaped pedestal, stele, and dragon-head sculpture on the top, went out of fashion, and, a new style emerged. Nevertheless, the turtle-shaped base of the stele for National Preceptor Jingak retains the most superb sculpture style among other turtle-shaped bases after 13th century, as it exemplifies the highest level of craftsmanship of the precedent golden age. In fact, it was inspired by the creation of a stele for Wonmyo-National Preceptor Yose (1163-1245) of Baengnyeonsa Temple, which was erected the same period. Another reason of the quality of the stele can be found in the support of about 200 donors for the Jingak stele construction as well as in artisans’ division of work.
    In terms of its styl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S” curved line at the turtle’s head , which has not been found in other turtle-shaped pedestals from the Goryeo period, might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Honam area’s tradition rooted in the Silla period. The sun-and-moon motif on the stele’s pedestal also suggests a special meaning.
    A stele monument, the body of which is installed on a turtle-shaped pedestal, first appeared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nd became prevalent during the Tang Dynasty. The first example in Korea was the stele for King Taejong Muyeol. Along with Korean Zen’s popularity in the ninth century, a Korean style of stele monument was established. The stele for Jingak is a significant example mainly because this is the last work using the Korean-styled turtle pedestal, which had been constantly in production since its creation during the later Silla period. If a stone roof once stood over the stele and is confirmed by further research, it will complete the stylistic lineage of the stele monument in the Gorye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