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년원 퇴원생의 사회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cial-Adjustment Process of The Discharged Adolescents from A Youth Detention Center)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2.03
38P 미리보기
소년원 퇴원생의 사회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정복지연구 / 24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이발희, 고윤순

    초록

    본 연구는 소년원 퇴원생의 사회적응과정을 탐색하고자, 퇴원 후 1년 이상 재범을 하지 않고 사회에 잘 적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소년원 내에서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소년원 퇴원생들 중에서 ‘접근 가능한 의도적 추출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소년원 내에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했던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청소년 총 98명 중, 본 연구의 이론적 표본 추출에 적합한 학생은 48명이었으며, 그 중 12명의 청소년과 만나 보호자로부터 구술 동의, 혹은 방문 서명 동의를 얻었지만, 최종적으로 6명과 녹음을 하게 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9년 8월~ 2010년 5월까지 1~3회 만나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필요한 경우 전화와 이 메일로 연락하여 자료를 보강하였다. 근거이론에 의한 자료 분석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118개의 개념과 38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사회적응과정 상의 중심현상은 “격렬한 출렁임”로 나타났으며, 인과적인 조건은 ‘자각’, ‘퇴원 계획’, ‘비행습관’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좁은 인간관계’, ‘주위 환경의 열악함’, 중재적 조건은 ‘이색 경험’, ‘자아성찰’, ‘시간의 경과’이었고, 작용/상호작용으로는 ‘도움의 수용’, ‘ 처절한 몸부림’, ‘관계 변화를 모색함’이었다. 결과는 ‘긍정적인 인생관’이 정립되고, ‘만족스런 관계 형성’, ‘현실적인 목표 설정’, ‘힘차게 전진’ 이었다. 과정 분석을 통해 ‘출렁이기’, ‘버티기’, ‘가다듬기’, ‘전진하기’의 과정이 드러났으며, 선택코딩에서는 ‘자각의 긴장감을 유지하며 현실과 치열하게 투쟁하며 전진하기’라는 핵심 범주를 발견하였고, ‘현실만족 안정형’, ‘자신만만 돌파형’, ‘소명추구 전진형’의 세 유형이 발견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한 제언으로는 첫째, ‘기존의 또래 집단’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이해와 활용, 둘째, 연약하고 어려운 상황에 처한 지지체계임에도 불구하고 퇴원생들에겐 오로지 ‘가족’만이 의지할 가장 중요한 지지 체계이므로, 가족의 지지 강화와 대체가능한 지역사회 자원 개발과 연계를 주도하는 전문적인 사후관리 체계 수립 셋째, 초기 비행연령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비행이 습관화되기 전 초기개입 넷째, 소년원 내에서의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퇴원 계획과 직업 연계 다섯째, 재범의 유혹을 이기게 하는 가장 중요한 ‘자각’의 개념을 인식, 유지하는 퇴원 전후의 효과적인 서비스의 체계화 여섯째로는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화와 선택의 기회 제공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re-adjustment process and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is process among the adolescents discharged from a youth detention center. In this study, seve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ix adolescents who did not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s again within one year after they were discharged from the detention center. Wit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dealt with various difficultie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ing measures for preventing relaps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to enhance the social adjustment skills among the adolescents.
    As the results, 16 classes, 38 sub-classes and 118 concepts were identified. The main phenomenon was ‘severe wavering’, the causal relationship were ‘insight’, "unspecified plan after detention centers" and "habits of delinquency".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narrow human relationships' and 'poor supporting systems'. Arbitration conditions were 'having unusual experiences', 'sensing time pass by' and 'taking time for retrospection'. Dealing strategies were ‘receiving helping hands', 'struggling trials to improve relationship'. and the result were ‘building a positive view of life', ‘formation of the satisfactory relationship', ‘identifying goals in real life' and ‘marching forward boldly'. The core value is found from selective coding; marching forward with struggles coming from the tension of retrospection.
    What we can conclude is that the graduates' social adjustment does not change easily. Thus, they struggle by themselves, only maintaining a tension not to commit the crime again, without any professional helps except those from the family and the volunteer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make a specific, and realistic plan for post-discharge with their family or care givers when leaving the detention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wisely utilize the support from the 'old friends' as needed. Trying to separate adolescent from old peer relationships may not necessarily be the best solution. Third, professional's help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resources of local community. Fourth, early intervention with social services is needed to facilitate breaking the vicious cycle of the crime. Fifth, it is necessary to help the teenagers without the opportunity of proper education keep realistic career minds, and develop appropriate jobs for them. Last,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detention center and social service agencies, follow-up services should be provided, which should last at least for a year after discharge from the ce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