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Knowledge Sharing of Subordinat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4
37P 미리보기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0권 / 2호 / 485 ~ 521페이지
    · 저자명 : 박희태, 이수진, 손승연, 김석영, 윤석화

    초록

    지식기반 경쟁사회에서 많은 조직들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쟁우위를 차지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있다. 이러한 지식경영에서 핵심중의 하나는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휴리스틱 이론을 적용하여 지식공유에 따르는 딜레마를 공정성지각이 줄여줄 수 있음에 착안하여, 공정성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 소수의 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연구에서는 분배, 절차 공정성 효과 검증은 일부 이루어졌으나,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의 효과 검증은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배, 절차 공정성과 함께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상사에 의한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도 있지만, 분배, 절차 공정성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는 촉진제로서의 역할이 가능함으로 분배, 절차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의 상호작용효과도 예상해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분배, 절차 공정성과 함께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정보 공정성)의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함께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분배, 대인관련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는 정적 관계(+)가 나타났으나, 절차 공정성과 정보 공정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의 상호작용효과는 분배 공정성과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절차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는 예상과 달리 나타났다. 본연구의 시사점을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첫째, 이론적 시사점으로 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지식공유를 사회적 딜레마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공정성 휴리스틱 이론으로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의 직접효과와 분배및 절차 공정성과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실무적인 시사점으로 조직 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의해서 수행되는 분배, 절차 공정성뿐 만 아니라 상사에 의해서 수행되는 상호작용 공정성(대인관련 공정성, 정보 공정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Knowledge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and it has been widely applied in various types of organization. The essential factor to ensure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is knowledge sharing. Knowledge sharing is defined in different ways, in general it means the delivery of knowledge (tacit and explicit), and most studies on knowledge sharing focus on “How to motivate subordinates of an organization to share knowledge with others”. However, relatively few has been on the organization justice that affects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subordinates.
    Organizational justice can be theoretical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of knowledge sharing. According to the social exchange theory, subordinates who recognize organizational justice tend to exhibit cooperative behavior as a reward. In the respect that knowledge sharing is a kind of cooperative behavior for coworkers, the employees who recognize organizational justice is likely to share knowledge in more effective manners. However, the theory set a limitation for us to explain how subordinates who recognize justice from organization or supervisors share their knowledge to coworkers. So we adopted justice heuristic theory to explain the limitation.
    According to the justice heuristic theory, knowledge sharing is a social dilemma arising in an organization and being decreased by trust. The theory also says that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works as a proxy for trust. Therefore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has an important meaning when knowledge sharing is observ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dilemm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Generally, organization justice was studied in terms of distribution, procedures, and interaction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
    Thus, the first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procedural,and interactional justice (interpers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The second goal is to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interpersonal justice,inform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onal, procedur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Therefore we hypothesize: H 1: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H 2: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H 3: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inform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H 4: The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such that the relationship will be stronger when the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is high than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is low.
    H 5: The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such that the relationship will be stronger when the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is high than interactional justice (a: interpersonal justice, b: informational justice) is low. Data was collected by giving questionnaire to 435 pairs of a supervisor and his/her immediate employee. 3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those, 322 dyadic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stributional justice and interpersonal justice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but procedural justice and informational justice was not.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interpers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in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In sum, Hypotheses 1, 3a, and 4a, 4b were supported.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this research viewed knowledge sharing as a phenomenon of social dilemma and theoretically refine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heuristic theory. And second, by demonstrating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interpersonal justice,inform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onal justice and knowledge sharing,it is possible to observe how important fair treatment from their supervisor is in knowledge sha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