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복 후 분단체제에 대한 원불교의 대응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Wonbuddhism’s Policies in Response to the Division System after Korea’s Independen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04
36P 미리보기
광복 후 분단체제에 대한 원불교의 대응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28권 / 28호 / 223 ~ 258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해방 후 한국사회는 외세에 의해 분단되었다. 일제시대에 태동된 원불교는 한국민족의 이러한 분단의 고통을 분담하면서 성장하여 왔다. 이에 본 논문은 분단체제에 대한 현재까지의 원불교의 대응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분단의 현실에 대해서는 주로 백낙청과 이종석의 분단체제론과 분단구조론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분단문제를 풀어가는 방법으로 시민참여가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종교계 또한 이러한 현실 위에 대북한 교류의 장을 넓히고 있으며, 원불교도 여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분단체제에 대한 원불교의 대응양상에 대해서는 먼저 광복 후의 과제와 당시 최고 지도자였던 정산 송규의 「건국론」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그 내용 가운데 민주국건설과 중도주의 운용은 현 시점에서도 한반도의 통일방식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분단체제의 고착화에 대한 대응과 분단 회복운동에 대한 참여를 다루었다.
    전자는 반공을 국시로 삼아 분단이 고착화된 시기의 원불교의 대응을 논한 것이다.
    비록 이념적인 측면에서 통일의 당위성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원불교의 사회적 역할은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80년대 후반 노태우 정부의 등장과 함께 원불교도 북방 및 북한교화의 정책을 수립한 것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한국사회 내 분단회복 운동에의 동참을 조명한 것이다. 북한과의 학문적 협력, 청년들의 통일 운동, 원불교 사회단체들의 통일 활동,원불교 지도자에 의한 통일의 사명고취 등 다양한 통일논의와 활동은 원불교가 분단회복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원불교의 통일운동은 종교적 이념과 통일이념의 조화, 시민사회의 역량강화, 실질적인 교육, 교류, 협력 사업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결론으로써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Korea is separated by foreign powers after her independence in 1945.
    Wonbuddhism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Japanese and has expanded after that time, has shared Korea’s deepest sympathy.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process of Wonbuddhism’s policy in response to the system of Korea’s division until now. First of all, this writer has analyzed both the theory of division system suggested by Nak-Cheong Baek and the theory of division structure by Jong-Seok Lee. They all pointed out it is important that Korean citizens are engaged and involved in solving of division problem. The Korean religious circles are promoting religious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onbuddhism also is getting in on the acts.
    The process of Wonbuddhism’s policies in response to the division system firstly is studied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founding the State written by Wonbuddhism’s principal leader Gyu Song in 1945. This book is an analysis of Korean policy issues after Korea’s independence.
    Both building up a democratized country and proceeding on the principle of middle-of-the-roadism have implications for the method to unify divided Korean peninsula in the present.
    Secondly, Wonbuddhism’s policies and the reunification movements in response to the fixation of the division system are treated. The former was focused on them when the government took an anticommunist line and therefore the system of the divided Korea became permanent. Although the believers of Wonbuddhism knew the appropriateness of reunification in respect of history, the social role of Wonbuddhism did not play a large factor in reunification movements. Meanwhile, Wonbuddhism formulated the policy of missionary work to countries in the Communist bloc and North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Tae-Woo No’s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The latter is focused on joining in reunification movements in Korea until now. We can see that Wonbuddhism are taking an active part in solving division problem, especially in acade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reunification movements by the young and social groups of Wonbuddhism, infusing the calling of reunification into the hearts of believers by readers of Wonbuddhism. This writer made a conclusion that the unification movement hereafter of Wonbuddhism should be pursued the harmony between religious and reunification ideology, social-empowerment by citizens, education for reunific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