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조 지눌의 ‘돈오점수론’에 대한 원불교적 관점 (The view of Won-Buddhism on the Chinul's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12
24P 미리보기
보조 지눌의 ‘돈오점수론’에 대한 원불교적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37권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박희종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의 수행체계가 왜 ‘돈오점수’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소태산이 ≪불조요경≫에「수심결」을 편입시킨 이유는 돈오공적에 빠진 수행을 경계하고 깨달음 이후의 바른 수행을 강조한데 있다. 한때 한국불교계의 ‘돈오점수’와 ‘돈오돈수’의 뜨거운 논쟁은 결국 ‘깨달음’에 대한 질적 판단과 결부되어 있다. 지눌의 경우 돈오를 해오로 보았으며, 증오에 이르는 길로서 점수가 요청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증오 또한 결국 견성성불과 성불제중이라는 대승 수행의 길을 밟아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돈오점수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원불교 수행을 돈점 삼문(三門)중 어느 하나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수행의 과정상 중생의 보편적 수행문으로 점수돈오가 제시되기도 하고, 최상근기자를 위해 돈오돈수가 수용되어 원융한 수행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다만 교리사상 전반을 살펴볼 때 수행체계의 주된 흐름은 돈오점수가 매우 강조된다. 소태산은 돈오를 뜻하는 견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지만 견성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고 한다. 깨달음 이후에 성불을 향한 닦음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즉 돈오점수의 목우행을 통해 성불에 이르고, 더 나아가 제생의세를 수행의 최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돈오점수’가 수행의 정로로 자리할 수 있는 이유는 보편적이며 대중적 수행의 길이라는 점이다. 한편 원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인간의 본성뿐만 아니라 우주의 이치,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영역까지 그 대상으로 삼는 특징이 있다. 그 배경으로는 후천개벽시대에 요청되는 깨달음, 유·불·도 삼교회통으로서의 깨달음의 요청, 사실적인 깨달음 요청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과 수행의 노력은 결국 감사와 보은불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reason why the system of Won Buddhist practice is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Sotaesan includes "secrets on cultivating mind" in <Buddhist Sutra> because he is aware of falling into void quiescence after sudden enlightenment and emphasized to find the right path after awakening. In Korean Buddhism, there have been many heated debates between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upon sudden enlightenment". It is connected with judgement of the state of enlightenment. Chinul considers "sudden enlightenment" as the awakening and explains that "gradual cultivation" is required to accomplish one`s study of knowing and practicing. Also, it can b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in terms of mahayana practice such as "seeing one`s original nature and attaining buddhahood" and "attaining buddhahood and delivering sentient beings".
    It is hard to categorize Won Buddhist practice into suddenness and gradualness`s three ways. As the process of practice, "sudden enlightenment after gradual cultivation" is suggested as the general way of practice for the ordinary practitioner, and "sudden cultivation upon sudden enlightenment" is accepted for the highest spiritual capacity. In main stream of the doctrine,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is strongly emphasized in the system of Won Buddhist practice. Although Sotaesan stresses the importance of seeing one`s original nature which means sudden enlightenment, he warns ending up only seeing one`s original nature. The need of practice for attaining buddhahood after enlightenment is very important. Through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we can attain buddhahood and further deliver sentient beings as the final goal.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is considered as the right path for the practice, because it is universal and accessible to the people. In Won Buddhism, enlightenment is not only about the original nature but also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further human life. It provides the background to enlightenment that is requested in the time of great opening, enlightenment that synthesizes the three religions(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and enlightenment which is realistic. We need to go forward a life of gratitude and make buddha offerings through enlightenment and the effort of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