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인 특파원의 한국전쟁 보도와 한국(인) 인식 (Reports by Japanese correspondents on the Korean War and their perception of Korea(n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2
16P 미리보기
일본인 특파원의 한국전쟁 보도와 한국(인)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105호 / 395 ~ 410페이지
    · 저자명 : 황익구

    초록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일본 언론의 한국전쟁 보도는 GHQ와 일본 당국의 언론통제정책으로 소극적으로 될 수밖에 없었으며, 주로 미군의 발표와 외국 통신사의 전문 기사에 의존하여 보도해야만 했기 때문에 당연히 제한적이고 부분적인 정보에 한정하여 전달되는 양상이 전개되었다. 그런데 일본 언론의 한국전쟁 보도는 1951년 7월 11일에 일본인 특파원의 한국 전선 파견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인 특파원은 휴전회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휴전회담이나 전황에 관한 보도보다는 한국(인)의 대일 감정과 인식, 한일관계 동향 등에 관한 보도를 비중 있게 다루게 되었다.
    한국전쟁에 대한 일본인 특파원의 보도는 먼저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의 모습을 안타까움과 동정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한편에 식민주의 관성이 여전히 작동하는 식민지 종주국 지식인의 향수와 우월감이 묻어나는 보도가 반복되고 있었다. 또 표면적으로는 한국(인)의 대일감정과 인식을 보도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당시의 일본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재군비문제, 대일강화문제)를 한국인의 시각을 동원하여 일본의 독자에게 그 필요성과 당위성을 효과적으로 호소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주목할 부분은 일본인 특파원의 보도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 통치로 빚어진 역사 인식의 문제를 희석시키는 한편 ‘제국’ 의식의 정당성을 용인하는 논리를 ‘반공’이라는 냉전 이데올로기로 불가시화하고 있었다. 당연히 식민 통치를 둘러싼 죄책감과 자기반성은 결여된 채 전후 일본의 타자 인식은 구축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Japanese media's coverage of the war had to be passive due to the media control policy of GHQ and Japanese authorities. Because the report had to rely mainly on announcements from the U.S. military and articles from foreign news agencies, only limited andpartial information was delivered. Meanwhile, Japanese media's reporting on the Korean War reached a new turning point with the dispatch of a Japanese correspondent to the Korean front on July 11, 1951. However, due to concerns that it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armistice talks, Japanese correspondents gave more importance to reports on Koreans' feelings and perceptions toward Japan and trends in Korea-Japan relations rather than reports on the armistice talks or the situation of the war.
    First, Japanese correspondents' reports on the Korean War repeatedly looked at Korea devastated by the war with a sad gaze, while also showing the nostalgia and sense of superiority of intellectuals from the colonial suzerain country. On the surface, it was reported to be reporting on Korea's feelings and perceptions toward Japan, but in reality, it was using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of the time in Japan as a means of appealing to Japanese readers about their necessity and legitimacy by mobilizing Koreans' perspectives. What is most noteworthy is that the Japanese correspondent's report was diluting the problem of historical awareness caused by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The Cold War ideology of 'anti-communism' concealed the logic of accepting the legitimacy of imperial consciousness. Naturally, the construction of post-war Japan's perception of the Other occurred without any sense of guilt or self-reflection about colonial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