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정원일기』 입시 기사와 대화 내용의 문서화 (The Documentation of the King’s Discussion with the Subjects in the Records of Sŭngjŏngwŏnilg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08
33P 미리보기
『승정원일기』 입시 기사와 대화 내용의 문서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57권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이강욱

    초록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君臣의 말과 글 및 동정 등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그 중 국왕과 신하 사이의 대화 내용은 입시한 注書가 草冊에 기록하였다가 『승정원일기』에 옮겨 적었다. 국왕과 신하 사이의 대화 내용 중 문서로 작성하여 공개할 필요가 있는 사안은 문서로 작성하였는데, 국왕이 지시한 사안인지 또는 신하와 논의하여 결정한 사안인지에 따라 榻前傳敎, 榻前下敎, 榻前定奪, 擧行條件 4가지의문서로 나뉘었다.
    榻前傳敎는 신하들이 입시한 자리에서 국왕이 불러주는 전교를 승지가 그대로 받아 적어 직접 인용 형식으로 작성한 전교이다. 傳敎는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承旨가 입시하지 않았을 때 국왕이 司謁이나 承傳 色을 통해 승정원에 문서로 전달하여 승지가 베껴 적는 전교이고, 또 하나는 승지가 입시하였을 때 국왕이 불러주는 대로 받아 적어 작성한 전교이다. 전자를 備忘記라고 하였고, 후자를 탑전전교라고 하였다.
    榻前下敎는 신하들이 입시한 자리에서 국왕이 지시한 사안을 승지가 요약하여 간접 인용 형식으로 작성한 하교이다. 下敎도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승지가 입시하지 않았을 때 국왕이 承傳色이나 司謁을 통해 승정원에 구두나 문서로 전달하여 승지가 받아적은 하교이고, 또 하나는 승지가 입시하였을 때 국왕이 지시한 사안을 승지가 요약하여 작성한 하교이다. 전자를 口傳下敎라고 하였고, 후자를 탑전하교라고 하였다.
    榻前定奪은 신하들이 입시한 자리에서 신하의 건의에 따라 국왕이 결정한 사안을 승지가 요약하여 간접인용 형식으로 작성한 문서이다. 탑전하교는 국왕이 일방적으로 결정하여 지시한 사안을 문서로 작성한 것이지만, 탑전정탈은 신하의 건의에 따라 국왕이 수용하여 결정한 사안을 문서로 작성한 것으로, 서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동일한 사안이라도 국왕의 지시에 따른 것이면 ‘「∼」라는 탑전하교’라고 적었고, 국왕이 신하의 건의에 따라 결정한 사안이면 ‘「∼」라는 탑전정탈’이라고 적었다.
    擧行條件은 신하들이 입시한 자리에서 국왕과 신하가 나눈 대화 내용 중 지방에 알려야 할 사안과 조정관원이 알아야 할 사안 등을 주서가 작성하여 국왕의 재가를 거친 문서이다. 탑전정탈은 승지가 요점만 간접인용 형식으로 작성하였지만, 거행조건은 군신의 대화 내용까지 비교적 자세하게 직접 인용 형식으로 작성하였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注書가 입시한 자리에서 물러나와 거행조건을 작성할 때에는 해당 사안을 논의했던 당사자에게 簡通을 보내 확인한 뒤 작성하였다. 거행조건은 대체로 朝報에 반포하였지만, 모두 반포한 것은 아니었다.

    영어초록

    Sŭngjŏngwŏnilgi is a chronicle of the records of words, writings, and conducts of the king and the subjects during the Chosŏn period, compiled by Sŭngjŏngwŏn (The Royal Secretariat). As for the dialogues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 the Chusŏ (注書) who attended that meeting used to take notes of them and later transcribed them in the Sŭngjŏngwŏnilgi. The dialogues that need to be documented and made public were produced as documents. Such documents were sorted by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different processes of the decision making. Such four categories were as following: T’apchŏnjŏn’gyo (榻前傳敎), T’apchŏnhagyo (榻前下敎), T’apchŏnjŏngt’al (榻前定奪), and Kŏhaengjogŏn (擧行條件).
    T’apchŏnjŏn’gyo (榻前傳敎) is the document that recorded the direct order (jŏn’gyo) from the king by Sŭngji (承旨), when the king made the order with his subjects attended. There were two kinds of jŏn’gyo (傳敎). The first jŏn’gyo was the record reproduced by Sŭngji when the one was absent and thereby the king transmit it to Sŭngjŏngwŏn through Saal (司謁) or Sŭngjŏnsaek (承傳色) in the form of a document. The other was the record directly produced by Sŭngji by taking down the king’s statements when Sŭngji was present with the king. The former was called Bimanggi (備忘 記), and the latter was called T’apchŏnjŏn’gyo.
    T’apchŏnhagyo (榻前下敎) is the document of king’s order (hagyo) that Sŭngji summarized the king’s statement in the form of an indirect quote, when the subjects were present with the king.
    There were two kinds of hagyo. The first was the record reproduced by Sŭngji when the one was absent and thereby the king transmit it to Sŭngjŏngwŏn through Saal or Sŭngjŏnsaek as a form of a document or verbal notice. The other was the document directly produced by Sŭngji by summarizing the king’s instruction when Sŭngji was present with the king. The former was called Kujŏnhagyo (口傳下敎), and the latter was called T’apchŏnhagyo.
    T’apchŏnjŏngt’al (榻前定奪) is the document produced when the king made a decision by following his subject’s suggestion. The Sŭngji wrote the document by summarizing the king’s decision in the form of an indirect quote. On the contrary, T’apchŏnhagyo is the document that directly took down the king’s unilateral order. As such, T’apchŏnjŏngt’al differs from T’apchŏnhagyo in that it was a product of the king’s acceptance of the subject’s suggestion.
    Therefore, Sŭngji used two different expressions (T’apchŏnjŏngt’al, T’apchŏnhagyo) by distinguishing those two different contexts behind the king’s decisions, even when both of the decisions were dealing with the same issue.
    Kŏhaengjogŏn (擧行條件) is the document produced when there were issues that regional officials and court officials should be informed of during the discussion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s.
    It was produced by Chusŏ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the king’s authorization. While T’apchŏnjŏngt’al was written with an indirect quote of the summary of the king’s decisions, Kŏhaengjogŏn d if fered f rom T’apchŏnjŏngt’al in that it directly quotes the dialogue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s relatively in detail. Also, when Chusŏ leaves his seat and write the Kŏhaengjogŏn, he asked to confirm the words of those who discussed the issue by sending a letter to them. Kŏhaengjogŏn used to be published and proclaimed in the official gazette (朝報), but not all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