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세기 백제와 일본 正倉院 소장품 (The Seventh-century Baekje Kingdom and the Shōsōin Repository Collect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8
24P 미리보기
7세기 백제와 일본 正倉院 소장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6권 / 165 ~ 188페이지
    · 저자명 : 신숙

    초록

    正倉院 소장품은 일본의 光明皇后가 남편 聖武天皇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756년 (天平勝宝 8) 6월 21일 49齋日에 그가 평소 간직하고 애용했던 634점의 물품을 東大寺 에 헌납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후 예불 의식에 사용한 것이나 외부에서 추가로 헌상된 품목이 포함되면서, 약 9천 여 점에 이르는 수집품을 갖추게 된다. 유물은 東大寺 『獻物帳』에 기록되어 入品 당시의 상황을 추정할 수 있고, 엄격한 관리로 보존 상태가 양 호하여 시대를 대표하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일본의 自國産 유물과 함께 한국, 중국,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등 실크로드를 통한 국제적 교류의 산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백제가 고대 일본과 정치적, 문화적 교류를 나누며, 특별한 우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던 상황을 참고하면 관련된 유물이 正倉院에 소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正 倉院에는 백제 의자왕(재위 641-660)과 연관된 문서 기록과 유물이 전하고 있다. 한편, 전라북도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 心柱石에 봉안된 사리장엄 일괄 유물과 금제사리봉영기는 백제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는매우 귀중한 자료이다.사찰과 석탑의 조성 배경을 알려주는 명문을 통해 沙乇積德의 딸인 무왕(재위 600-641)의 왕비가 재물을 시주하여 639년에 가람을 세운 내용이 확인되었고 동반된 출토 유물도 모두 23건 9,900여점에 이르는 방대한 수량이다. 무엇보다 7세기 백제 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된 출토품이라는 점에서 일본 正倉院 소장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문헌기록을 검토하고 연관된 공예품의 장식 재료와 기법, 문양을 비교하여, 正倉院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는 백제의 유산과 韓日의 문화교류를 살펴보았다. 미륵사지 석탑 에서 발견된 진주와 光明皇后의 유품으로 추정되는 正倉院의 진주를 비교하여, 두 나 라에서 사용된 왕후의 冠飾을 떠올려 보았고 보석 가공기술의 발전과 영향관계를 알아 보았다. 또한 正倉院의 의자왕 관련 기록과 현존 유물을 재검토하여, 일본의 藤原 가문 과의 특별한 교류를 더욱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옻칠과 平脫, 상아와 撥 鏤를 통해 재료와 연결되는 기법의 특징을 정리하면서, 공예 기술의 발전과 전파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삼국과 남북국 시대를 연결하는 백제의 문화사적 위상을 再考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Shōsōin Repository (正倉院) began with offerings from the Empress Kōmyō (光明皇后) to Todaiji Temple (東大寺) granted on the twenty-first day of the sixth month of 756 (Tenpyō-shōhō 8) out of a wish for her consort Emperor Shōmu’s eternal repose. Her donation consisted of 634 items that the Emperor had treasured in life. Today, the Shōsōin Repository’s collection comprises more than 9000 objects, including offerings from other sources and items that had been used in Buddhist services and rituals. Details on the collection are recorded in the Tōdaiji kenmotsuchō (東大寺獻物帳, Catalogue of Offerings to Todaiji Temple), which allows scholars to create suppositions about conditions at the time of the acquisitions. Further, the collection is recognized as housing representative materials from an extensive period that have been maintained and preserved under strict conditions. The Shōsōin Repository is also significant for containing both native Japanese products as well as items that arrived via the Silk Road through Korea, China, Central Asia, and Western Asia.
    Given that Baekje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Japan through cultural and political exchang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Shōsōin Repository holds objects related to these exchanges. In fact, documents and objects associated with King Uija (義慈王, r. 641-660) of Baekje are indeed housed in Shōsōin. The sarira reliquaries and the gold plate with an inscription on sarira enshrinement found inside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sa Temple in Iksan, North Jeolla-do Province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art of Baekje. The inscription on the gold plate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stone pagoda and relates that the queen consort of King Mu (武王, r. 600-641), who was the daughter of the high-ranking official Satak Jeokdeok (沙乇積德), made offerings and commissione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in 639. An extensive number of objects was found together with the gold inscription plate. The discovery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the examination of the connection with the collection of the Shōsōin Repository since the buried goods had been commissioned by the Baekje court in the seven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regarding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Baekje Kingdom,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literature and a comparison of the decorative techniques, designs, and materials of pertinent artifacts. By comparing the pearls used in headdresses from the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Site and those from the Shōsōin Repository, I have explored the development of pearl-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pertinent relations. Also, the re-examination of documents associated with King Uija and extant objects related to the king in the collection of Shōsōin Repository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the Fujiwara (藤原) family. Furthermore, I have looked into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craft technology whil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ques used on particular materials, such as lacquering and pyeongtal (平脫) or ivory and balu (撥鏤). The aforementioned explora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reevaluat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tatus of Baekje as it bridged the Three Kingdoms and North-South States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