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하청 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s of Original contractors in the Contractor-subcontractor Relationship)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8
58P 미리보기
원・하청 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논총 / 55권 / 85 ~ 142페이지
    · 저자명 : 임동환, 이승길

    초록

    최근 복잡・다양해지는 사회 구조에서 근로관계는 종전 쌍무적 모습에서 탈피해 다면화되고 중층적인 근로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 ‘원・하청의 도급계약’이 있다. 중노위는 2021년 ‘CJ대한통운 사건’ 및 2022년 ‘현대제철 사건’의 판정을 통해 부당노동행위의 유형인 단체교섭 거부의 주체로 ‘원청의 사용자성’을 인정하였다. 이 두 개의 판정은 2010년 ‘현대중공업 대법원 판결’의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하였다.
    그간 대법원은 단체교섭을 이행할 당사자는 근로계약관계를 맺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판단하였다. 2010년도 부당노동행위 유형중 지배・개입의 판단은 근로자의 기본적 근로조건 등에 관해 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로서의 권한과 책임을 일정 부분 맡고 있다고 볼 정도로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로 본 것이다.
    현재 논의를 촉발시킨 ‘중노위 판정’이 참고한 현대중공업 대법원 판례 법리는 ‘일본의 아사히방송 사건’ 최고재판소 판결 법리를 참조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판결 법리를 적용하는 것을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일본 노동법 학계에서도 아사히방송 사건의 판결에 대한 법리 형성에는 견해(지배력설, 근로계약기준설 등)가 대립하고 있다.
    당시 일본은 ‘파견법’이 제정되지 않았던 시기에 우리나라 파견법상의 ‘파견관계’와 같이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대하여 마치 고용주와 동일시할 정도로 현실적・구체적으로 의사 결정을 실시했던 것에 대한 판결이다. 그리고 일본 노조법은 우리나라와 달리 사용자에 대한 정의 규정이나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규정이 없다. 이에 양국의 관련 사안의 배경과 차이점 등을 고려해 원・하청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에 대한 법리를 재음미해 볼만한 의의가 있다.
    원・하청 관계에서 실질적 지배력을 바탕으로 원청을 단체교섭의 주체로 인정할 경우 단체교섭을 이행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하청노조가 원청과 교섭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의 이행 구조, 원・하청간 단체교섭 대상의 구분 방법, 노동쟁의 조정의 당사자 적격, 노조법상의 대체근로 금지규정(제43조)에 대한 사용자의 확대 등이 문제된다.
    노조법상의 사용자 개념은 노조법 체계 내에서 유기적으로 해석・적용해야 한다. 원・하청관계에서 실질적 지배력을 바탕으로 근로계약 관계가 없는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는 법해석은 재음미해야 하고, 향후 노조법 체계에서 입법론을 논의할 수도 있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in the increasingly complex social structure, labor relations have become multi-faceted and multi-level labor relations have been formed, away from the traditional two-sided appearance. Typically, there is a contract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subcontract.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recognized the user nature of the original office as the subject of refusal to collective bargaining, which is the type of unfair labor practices, through the judgment of CJ logistics case in 2021 and Hyundai Steel case in 2022. These two judgments applied the practical ruling of the Supreme Court of Hyundai Heavy Industries in 2010.
    In the meantime, the Supreme Court has judged that the parties to implement collective bargaining are those who have labor contract relations. The judgment o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among the types of unfair labor practices in 2010 is that the person is in a position to control and decide practically and specifically enough to assume that he is in charge of som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the employer who hired the worker with respect to the basic working conditions of the worker.
    The Supreme Court precedent law referred to by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ruling,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is a reference to the Supreme Court ruling in the Asahi Broadcasting case in Japan. And when the original office is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by the actual control, it should be integrated and organic interpre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users prescribed in the union law,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bargaining windows, the confirm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targets, the mediation process of labor disputes, and the prohibition of alternative labor for disputes.
    The original contract is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based on the actual dominance in the contract-subcontracting relationship. The problem is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Authority to Bargain and Make Agreement, the confirm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targets, the qualification of the parties to the labor dispute mediation process, Various problems occur 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implement collective bargaining.
    Subcontracting unions will be able to negotiate with the original office without going through the Authority to Bargain and Make Agreement under the current law. There is a problem of how the original and subcontracting can distinguish the o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The enlargement of users to the provisions of the Disqualification of Parties and the Prohibition of Alternative Work under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rticle 43) is also a problem.
    In this way, the concept of users in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organically within the legal system. It is not appropriate to expand and apply users who have no labor contract relationship based on practical dominance in the contract-subcontract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동법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