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전무출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ained devotee of Won-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06
58P 미리보기
원불교 전무출신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호 / 41 ~ 98페이지
    · 저자명 : 고시용

    초록

    본 연구는 원불교의 역사적 측면에서 전무출신을 살펴보고 정체성을확립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원불교의 개교와 성장, 발전의 원동력이전무출신이었으며 그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당면과제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전무출신의 원형은‘출가-전무출신-교무-성직자’로 일관(一貫)된다.
    전무출신의 출가 동기는 공부였고 원불교의 개교 동기는 파란고해의일체 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결국 전무출신은공부에 전념하면서 회상을 창립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정신과 육신을오롯이 내놓았다. 또한 전국은 물론이요 세계로 나아가 소태산의 전법사도로서 포부와 경륜을 계승하고 사명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전무출신의 정체성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
    변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공동체생활, 공부와 사업, 결혼, 급여, 품과, 겸직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변인들을 종합하면“공동체가 해체되고공부보다 사업·겸직에 치중하며 결혼과 급여, 품과의 선택으로 인해혼란을 겪는 중”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결국 정남·정녀 위주, 교무 위주의 전무출신으로 귀결되는 추세라고 진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교단의 위기를 간과할 수 없다. 종전의 공동체적 정체성과 공부에 기반을둔 출가의 의미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공감대의 부재를 가져온다. 이는전무출신 지원자의 감소로 이어지고 특히 정녀 지원자의 감소는 매우심각하다. 또한 교단의 구성원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결국 전반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오늘날 원불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많은 문제들도 전무출신 정체성 혼란의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무출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것은 시대적 과제이며 더욱이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를 맞아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가‘전무출신의 시대화·생활화·대중화’를 위한논의를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identities and roles of the Cho˘nmuch’ulsin,or ordained devotees of the Won-Buddhist order, in the history of Won-Buddhism. Because the motive power behind the founda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Won-Buddhist order was the Cho˘nmuch’ulsin,establishing the true nature and identity of this important role is a present challenge and has significance for the future of the order.
    The original concept of Cho˘nmuch’ulsin encompasses three distinct titles and roles: the Chulga, or ordained monk, who enters the priesthood forever after leaving the household life; the Kyomu, whose principal duty lies in teaching and edifying others; and the clergy. The founding motive of Won-Buddhism is to lead all sentient beings, who are drowning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to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The purpose of all three categories of Cho˘nmuch’ulsin is to practice in order to realize the aim of the founding motive. Therefore, they sincerely devote their minds and bodies in order to establish and develop there ligious order while practicing diligently.
    Also, they have made efforts to carry on the missions of their order, having inherited its plan and aspiration from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as apostles who impart what Sotaesan taught, all over the world.
    However, as time goes by,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roles and identities of the three types of Cho˘nmuch’ulsin. Crucial areas where changes have occurred are communal life, practice and activities, marriage,wages, a system of departments, and the holding of outside jobs. To sum up the factors, Cho˘nmuch’ulsin are often focusing on their business affairs or additional jobs more than on their practice, so that the community of practitioners is breaking down. At the same time, many Cho˘nmuch’ulsin are confused by options such as marriage, wages and a system of departments.
    These changes cause the diminution of the meaning of Chulga, based on communal identity and practice and the absence of participation in society.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role of Cho˘nmuch’ulsin is diminishing, and in particular, the curr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willing to apply to become celibate clergy is quite serious.
    Also, the decline in the role of the Cho˘nmuch’ulsin interrupts communications with members in the order and finally causes inefficiency.
    My diagnosis, which I support with examples and research, i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 role of the Cho˘nmuch’ulsin is currently being or ganized mainly by celibate clergy members and Kyomu. According to my analysis, this state of affairs is becoming increasingly the norm, so that we cannot overlook the crisis of the Won-Buddhist order. At this crucial time in its history, many problems of the Won-Buddhist order can be resolved by investigating the reasons why Cho˘nmuch’ulsin are confused about their identities. Therefore, reestablishing the Cho˘nmuch’ulsin’s identity is a historically important task. I will argue that, even more significantly, the need for this redefinition stands out in bold relief as we confront the modern knowledge-based society.
    I hope this study will be a trigger which promotes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and role of the Cho˘nmuch’ulsin for ‘Propriety in modern society,Application in daily life, and Popularization’of Won-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