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12
38P 미리보기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1호 / 105 ~ 142페이지
    · 저자명 : 장진영

    초록

    근대와 불교의 만남은 원불교를 낳았다. 이 땅에 불교라는 보편종교가 없었다면, 그리고 근대라는 격변의 시대가 없었다면, 원불교가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것이다. 少太山朴重彬(1891-1943)은 新종교의 에너지를고스란히 불교의 보편성에 접목시킴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종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원불교 운동의 방향은 근대 자생의 新종교에서 출발하여 혁신불교로, 나아가 새 불교로 전개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을 크게 3시기로 살펴보았다.
    <1기>인 ‘소태산의 대각부터 불법연구회 창립까지’는 『금강경』을 인연으로 불법에 대한 연원을 정하고, 미래의 불법을 선언하였으며, 전통불교의 교리와 제도를 견문하고 혁신불교의 교리와 제도를 초안하였다. 소태산은 일찍부터 世間生活을 중시함으로써 일상을 떠나지 않고 불법공부를 할 수 있도록 ‘人道上의 要法’의 길을 주로 제시하였다.
    <2기>는 ‘불법연구회 창립부터 원불교 선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불법선언에서 제시되었던 입장이 구체화된다. 1935년 발간된 『조선불교혁신론』을통해서 내외적으로 혁신불교의 입장을 천명하였고, ‘법신불일원상’을 중심으로 교리의 불교적 재구성이 진행되었다. 이는 근대를 맞이한 조선불교에 대한 혁신의 과정임과 동시에 일경의 유사종교 탄압 정책에 대응하는 방식의하나였다. 전통불교의 입장에서는 외부자의 혁신일 수밖에 없지만, ‘불교에얽매이지 않은 불교’의 입장에 선 소태산은 전통 불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견지하면서도 미래 불법에 대해서는 희망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다.
    <3기>는 ‘원불교 교명 선포 이후 지금까지’이다. 혁신불교의 대상이 주로‘조선불교’였다면, 원불교 교명 선포는 ‘세계불교’의 일부로서 새 불교운동을전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원불교는 여전히 소수자의 종교지만, 독자적인 불교교단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고 불교냐 불교가 아니냐는 논쟁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핵심은 ‘원불교는 불교다’라고 하든, ‘원불교는 불교가 아니다’라고 하든, 결국 ‘불교가 무엇이냐’라는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원불교가 한국 자생의 新종교인 ‘민족종교’에서 다시 새 불교로서 인류사회의 ‘보편종교’로 나아갈 수 있을지 여전히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원불교가 근대에 조선불교가 안고 있었던 문제를 조금은 다른 입장이었지만 함께 고민하였고, 현대불교의 흐름에도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동기에 의하여 동참하고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불교 나아가 세계불교의 흐름 속에서 원불교 운동이 가지는 의의에 대한 바른 평가가 요청된다.

    영어초록

    Encounter of modern age and Buddhism gave a birth of Won-Buddhism. If there was no Buddhism, a universal religion, or no turmoil period of modern time, in this country, then Won-Buddhism might not be able to show its figure in this worl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had developed new dimensional religious movement by combining whole energy of new religion to universality of Buddhist thought. Direction of Won-Buddhist movement can be comprehended as a process forwarding from a native modern neo-religion to an innovative Buddhism, then to a neo-Buddhism. From this aspect, the meeting of Buddhism and Won-Buddhism can be investigated with three periods in general.
    The first period is "from Sotaesan's enlightenment to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this period,Sotaesan established his origin as Buddha-dharma for his experience of reading Vajracchedika Sūtra, proclaimed a future Buddha-dharma,and laid the foundation of tenet and system of a innovative Buddhism after surveying those of traditional Buddhism. Sotaesan,from the early peri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ndane life and mainly suggested the way of "the essential dharma of the Way of humanity" for being able to practice and study Buddha-dharma without leaving actual life.
    The second period i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to the declaration of Won-Buddhism." In this period,Sotaesan made his stand point concrete with his proclamation of Buddha-dharma. He asserted the stand point of innovative Buddhism in and out, through the Theory on Innovation of Choseon Buddhism published in 1935. And Buddhistic reconstruction of tenet had been conducted with centered on "the Dharmakāya Buddha, Il-won-sang."It was a process of innovation of Choseon's Buddhism turing to modern age, and a way of coping with suppression policy to "pseudo religion" of Japanese police. From the view point of traditional Buddhism, Won-Buddhism was nothing but an innovation from outsider. However, Sotaesan was ceaselessly trying to find out hopeful prospective of future Buddha-dharma, maintaining critical view point to traditional Buddhism from the stand point of "a Buddhism but not adhering to Buddhism."The third period is "from proclamation of Won-Buddhism to present." The main subject of innovative Buddhism was mostly "Choseon Buddhism", however, proclamation of the name,Won-Buddhism, became a causation to develop neo-Buddhism as a part of "world Buddhism."Won-Buddhism is still a minority, however, awarded a positive valuation for a independent Buddhist order. It does not mean extinction controversy whether it is a Buddhism or not. It is very valuable to discuss in private and public. The essential point is finally coming back to the matter of "what is Buddhism?", whatever they decide on identity of Won-Buddhism as a Buddhism or not. It is worthy to watch that as Won-Buddhism developed from ethnic religion as a Korean native neo-religion to innovative Buddhism, it can move forwards to "a universal religion" of mankind as a neo-Buddhism. But it can not deny that Won-Buddhism had deeply deliberated of problems of Choseon Buddhism from little different angle, and played a part to expand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and to raise its state, by participating to the flow of neo-Buddhism of contemporary with autonomous and subjective mo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