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의 원(願) (A Wish in Avatamsk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07.12
26P 미리보기
화엄의 원(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0호 / 73 ~ 98페이지
    · 저자명 : 이행구

    초록

    불교에서 “갖고자 하는 마음, 하고자 하는 마음이 간절함”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 욕(欲)이다. 경전에서는 “욕망․갈애․탐욕․망집” 등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바람, 구함”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 말에 원(願)이라는 단어가 있다. 욕(欲)과 원(願)은 그 의미는 비슷하나 전자는 버려야하는 것으로, 후자는 가져야 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회향(廻向), 중생회향(衆生廻向)이 전제되지 않은 “바람, 구함”은 欲․욕망․갈애․탐욕이요, 중생회향이 전제되면 그것은 願․誓願이 된다 할 수 있다. 이것은 대승보살 사상의 핵심이다.
    『화엄경』은 대승보살의 길(道)과 행(行)을 설하는 경답게 여러 곳에 願이 설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법품」․「10지품」․「이세간품」․「입법계품」에 보살의 10대원이 설해지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명법품」․「10지품」․「이세간품」의 10대원의 명칭은 각각 다르지만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입법계품」의 보현보살의 10종대원은 그 명칭과 내용에 차이가 있다. 반야삼장이 大經의 「입법계품」만을 떼어내 『40화엄경』으로 편역할 때 그 끝부분인 권제40에 「보현행원품」을 편입시켰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화엄경은 철학성과 논리성이 대단히 잘 된 경전이다. 반야지혜를 체(體)로 하고 보살만행을 용(用)으로 하는 구조는 참으로 잘된 것이지만, 신앙성이나 보살의 실천행은 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을 보충한다는 뜻에서 반야삼장은 別行經으로 유포되어 있던 “보현보살의 10종 대원”을 『40화엄경』의 맨 마지막에 편입시켰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Buddhism, a desire is meant be a status of mind that attain or achive something deparately. In another words, a desire is expressed as wants, attachment, greed, or deep-seated delusion in Buddhism scripture. Also, there is a wish which denotes a word for caring for someth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There is a similar meaning between a desire and a wish. However, in a view of Buddhist’s common sense, a desire should be abadonned but a wish should be maintained in a person’s mind.
    Without a showing deepgratitude toward all sentiment beings, car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is becoming to a desire, a want, an attachment, or a greed. But with a showing deep gratitude toward all sentiment beings, car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is becoming to a wish or a vow.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Mahayana Bodhisattva’s thought.
    Avatamska sutra has explanations about a wish in several chapters since the sutra is guidance for the Mahayana Bodhisattva’s way and practice. Specifically, there are explanations for10 big vows in the chapters of Myung-Bup, 10-Gy, Isegan, Ipbipgye. If we look at the correponding chapters, each calling name of 10 big vows in each chapter of Myung-Bup, 10-Gy, Isegan is different respectively, but the contents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name and the content of Bohyun Bodhisattva’s 10 big vows in the Ipbipgye chapt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hapetrs. It is so, since when Banyah-Samjang tried to edit from the Big sutras into 40 Avatamska sutras, he just detached the Ipbipgye chapter from the Big sutras and tranferred the part into the last sutra of 40 Avatamska sutras as the chapter of Bohyun Bodhisattva’s vows.
    Avatamska sutra has a well establiment of philosopical as well as logical flows. It reposes Banya wisdom as its body and takes Bodhisattva’s various acts as its usage. This is a well established framework. But, its framework is little bit absent from Bodhisattva’s practice. In order to compromise the deficiency, it is seemed that Banyah-Samjang tried to insert the content of Bohyun Bodhisattva’s 10 big vows, which once was spreaded out as a separate sutra, into the last part of the 40 Avatamska sutras.
    Go gwang duk, grand sunim, has newly established the Bulgwang temple and has been the Dharma master of Bulgwang Temple. It is seemed to be a good idea for Go gwang duk sunim to adopt Diamond sutra as the body of Bulgwang Dharma lecture and to take Bohyun Bodhisattva’s practice vows as the usage of Bulgwang Dharma le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