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淨業院의 위치에 관한 재검토 –영조의 淨業院舊基碑 설치를 중심으로– (Review of the location Jungupwon(淨業院) of the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old stone monument of Jungupwon built by Youngj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7.10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淨業院의 위치에 관한 재검토 –영조의 淨業院舊基碑 설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7호 / 43 ~ 72페이지
    · 저자명 : 탁효정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왕실 비구니사찰인 정업원의 위치를 규명하는데 있다. 정업원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줄곧 학계의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이같은 논쟁이 발생한 이유는 실록에 등장하는 정업원과 영조가 세운 정업원구기비의 위치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조선초부터 광해군대까지 실록에 등장하는 정업원이 일제히 창덕궁 인근을 지칭하는데 반해, 영조가 세운 정업원구기비는 동대문밖 동망봉 아래, 오늘날의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해 있다. 영조는 단종선양사업의 일환으로 정순왕후가 살아생전 머물렀던 집터에 다섯 글자를 새긴 비석을 세웠는데 ‘정업원의 옛터’라는 의미의 ‘淨業院舊基’였다.
    실록에 등장하는 정업원은 수차례 폐지와 복설을 거듭했지만 약 200여년간 창덕궁 인근의 산야 지대에 비구니승방을 이루며 유지되었다. 이 때문에 영조의 정업원구기비가 숭인동에 위치한 것은 영조가 고증을 잘못했기 때문이라거나, 혹은 제2의 정업원이 숭인동에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그런데 최근 장서각으로 이관된 해주 정씨 고문서에서는 연산군대에 도성밖으로 쫓겨난 비구니들은 인창방 일대에서 공동체 생활을 영위해나갔으며 당시 정업원의 주지가 정순왕후 송씨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연산군~중종대에 정업원이 공식적으로 철폐된 시기에 숭인동 일대에 정업원 비구니들의 집단 거주지가 마련되었고 이곳이 정업원의 임시분원 역할을 하였음을 알려준다.
    영조가 정순왕후의 옛 집터에 정업원구기라는 이름을 내린 것은 이같은 사실을 정미수의 후손들을 통해 확인했기 때문이었다. 해주 정씨 종손 정운희 등을 통해 정순왕후가 인창방에서 살았으며 정업원 주지를 역임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영조는 옛 집터에 정업원구기비를 세웠다.
    한편 오늘날 정업원구기비가 서있는 청룡사는 비석이 세워진 뒤에 새롭게 세워진 절이다. 영조가 정업원구기비를 봉심하기 직전 집터를 살피러 갔던 이정수의 보고에 따르면 정순왕후의 집터는 빈터로 남아있었으며 주변에는 민가조차 없는 상태였다. 이후 비석이 세워진 뒤에 인창방 일대의 비구니들이 현재의 청룡사를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ocation of the Jungupwon(淨業院), a royal nuns temple in the Joseon Dynasty. Discussions about where the Jungupwon were located have always been a dispute among scholars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The reason for this controversy is that the position of the Jungupwon in the Joseon Dynasty annals and the positions of the Jungupwon established by King Youngjo are quite different.
    In contrast to Changdeok Palace which is located in From early Joseon Dynasty to Gwanghaegun, the old stone monument of Jungupwon built by Youngjo is located in Seongin–dong, Jongno–gu, Seoul. Yeongjo built a tombstone with five letters in the house where Queen Jungsoon lived as a part of memorial service for king Danjong. The letters were meant to be the 'old place of the Jungupwon(淨業院舊基)'The Jungupwon which appeared in the annals repeated their abolition and reestablishment several times, but they were maintained as Buddhist nun community in the mountain area behind Changdeok Palace for about 200 years. For this reaso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old stone monument of Jungupwon in Sungin dong was because Yeongjo was wrong or that the second Jungupwon was here.
    However, in the ancient documents of Haeju Jeong family, which were recently transferred to Jangseokgak, the Buddhist nuns who were driven out of the city in yeonsangun period went out to live in community in Inchangbang. It was confirmed that at that time Queen Jungsoon was the chief Buddhist nun in Jungupwon. This indicates that the group residence of the Buddhist nuns in Jungupwon was established in Sungin dong at that times when Jungupwon was officially removed from the yeonsangun period to the king jungjong period.
    The reason that Youngjo named the old stone monument of Jungupwon at the old house of Queen Jungsoon was because the descendants of Jung Misoo confirmed this fact. the descendants confirmed that Queen Jungsoon lived in Inchangbang and served as the chief Buddhist nun in Jungupwon. Yeongjo, who confirmed the fact, set up a memorial stone monument for Queen Jungsoon in her old house.
    On the other hand, Cheongyongsa Temple, where the monument is still standing today, is a newly built temple after the monument was built. According to the report of Lee Jung Soo, who went to see the house just before Yeongjo was started to the construction work, the site of house of Queen Jungsoon remained vacant and there were no houses in the vicinity. After the monument was erected, it seems that the nuns of the Inchangbang area, which succeeded to Queen Jungsoon, built Cheongyong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