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사이트 워마드의 ‘흉자’ 담론 분석: 굴절된 자기혐오라는 성공에의 동력 (Discourse Analysis on honorary-men (‘Hyung-Ja’) discourse of Website )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12
45P 미리보기
웹사이트 워마드의 ‘흉자’ 담론 분석: 굴절된 자기혐오라는 성공에의 동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4권 / 4호 / 53 ~ 97페이지
    · 저자명 : 고은해

    초록

    이 연구는 웹사이트 <워마드>가 구성하고 있는 담론 중 특히 ‘흉자’담론에 대한비판적 접근을 시도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에 대한 비하표현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으며 <메갈리아> 사이트로부터 분화되어 나온 웹사이트 <워마드>는, ‘오직 여자만챙겨야 한다’는 기치 아래 ‘여성’에 대한 범주화 작업을 담론의 차원에서 구성해왔다. 그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워마드>의 ‘흉자’ 담론은 ‘다른 여성’을 향한 비난을실천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함으로써, 이들이 구성하고 있는 ‘여성’ 범주의 모순을강하게 암시한다. 이는 ‘여성주의’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가진 <워마드>가 ‘흉자’ 담론을 통해 일종의 ‘여성혐오’를 실천하게 된 배경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워마드>의 ‘흉자’ 담론을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접근을 원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첫째, ‘흉자’ 담론은 불특정한 여성들의 특성을 일반화하고 있는 여성혐오의 매커니즘을 반복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문화의 강력한 헤게모니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둘째, ‘흉자’ 담론의 실천은 <워마드>의 사회적 고립과 연관되며, 이 고립의 극복은 ‘흉자’들에 대한 폭력적 구제 행위의 실천으로 연계되는 순환 구조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흉자’ 담론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워마드> 구성원들의 불안의 정동은, ‘탈코르셋 운동’, ‘야망보지 프로젝트’ 그리고 ‘탈조선 프로젝트’와 같은 신자유주의적 자기계발 주체의 계발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적 실천과 강력한 개연성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워마드>가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및 신자유주의적 무한경쟁 체제가 긴밀하게 얽혀 있는 이중적 억압의 구조 속에서, ‘흉자’ 혐오를 통해 각자도생의 생존전략을 모색하는 현실을 재현하고 있다. 이는 <워마드> 라는 일부 ‘여성 청년 세대’가 기존의 몰젠더적인 청년 세대 담론과 ‘헬조선’ 지형도의 다른 한 축을 <워마드> 버전으로 기록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 to adopt a critical approach toward discourses <Womad> has constructed, especially focusing on ‘honorory-men’ discourse (aka ‘Hyung-Ja’ discourse). <Womad> has been categorizing Women in discursive dimension under the ‘We must Only care for Women’ banner.
    But this categorization exposes a self-contradiction of <Womad> through ‘honorary-men’ discourse, which is a kind of hate speech against Other Women. Since <Womad> can be considered as a feminism group, it is problematic that they are practicing misogyny by doing so. This contradiction strongly suggests the need for study of ‘honorary-men’ discour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honorary-men’ discourse that justifies the criticism of Other Women, by apply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is following: firstly, ‘honorary-men’ discourse follows and repeats the mechanism of misogyny that generalizing characteristics of non-specific women, which shows the influence of strong hegemony of deep-rooted misogynic culture in Korean society. Secondly, the discursive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is related to social isolation of <Womad> and their attempt to overcome the isolation forms a recursiv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practice of enlightment against ‘Hyung-ja’. Lastly, the affect of anxiety <Womad> reveals through the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has built a connection to the social practices of <Womad>, which are neoliberalistic projects that only limited and selected individuals can succeed within. This analysis result tells us that practicing ‘honorary-men’ discourse represents <Womad>’s survival strategy with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which has a twofold suppression structure of misogyny and neoliberalistic economy system. This means that young women generation called <Womad> is newly mapping ‘discourse of young generation’ and ‘discourse of Hell-Joseon’ from women perspective. For deconstruction of the self-hatred mechanism represented in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of <Womad>, this study emphasizes two kinds of proposals. One thing is forming a solidarity through a critical consideration of closed collective identity. Another thing is forming a critical discourse that incubates potential for disarticulation between two macroscopic hegemonies in korean society, which are misogyny and neoliberalistic competi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