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현대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담론 모색 -한국 중국사학계의 최근(2002~2017) 성과를 중심으로- (A Search for New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China Relatio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3
30P 미리보기
근현대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담론 모색 -한국 중국사학계의 최근(2002~2017) 성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논총 / 57호 / 269 ~ 298페이지
    · 저자명 : 이재령

    초록

    오늘날 중국이 외교‧군사 대국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중관계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지 고민되는 시점에 있다. 실제로 중국의 급작스런 부상에 한국학계는 한중관계를 재진단하며 이런저런 평가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동북공정이후 중국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중국의 경제적 군사적 대국화를 우려하는 시각이 보편적이다. 또한 중국의 사상적 토대로는 문화적 보수주의와 애국주의를 들고 그 저변에 깔린 중화민족주의의 회복과 강조를 주목하였다. 중국의 동아시아인식과 관련해서는 중국의 민족주의담론 안에서 ‘동아시아 속의 중국’이 아닌 ‘중국 속의 동아시아’로 사유하는 습속이 남아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현재 중국의 위상을 둘러싼 ‘대국론’이나 ‘위협론’은 대부분 전통시대 ‘중화주의의 부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중국의 애국주의를 민족주의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동아시아의 일원으로써 긍정적 역할을 기대하는 ‘중국활용론’도 존재한다. 어느 주장이 되었든지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동아시아 인식이 21세기 세계질서 형성에 주요 요소가 될 것이며 향후 한중관계의 변화에 결정적 요소가 될 것이다.
    탈냉전시기 소련의 몰락과 미국 패권의 약화는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 속에서 중국이 재 부상됨과 동시에 한국과의 관계가 재조정에 들어섰다.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여전히 긴밀하지만 과거처럼 절대적이지는 않고 다양한 변수들이 상존했다. 남한과 중국의 관계는 개혁·개방이후 경제 분야의 인적·물적 교류를 시작으로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현재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남한과 중국의 관계에서 미국의 존재는 여전히 막중하다. 이 때문에 탈냉전기일지라도 초강대국인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때마다 한중관계는 여전히 요동칠 것이며, 최근 사드사태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관계에는 不變과 可變 요인이 함께 작동하고 있는데 근대이후 전자보다 후자가 압도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약시대이후 한중관계를 형성하는 주체가 점차 다양해지고 상호의존성이 심화되면서 양국관계에 제3자로서의 일본‧미국‧소련 등의 강대국이 끼어든 것이다. 이러한 가변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전근대의 한중관계가 양자간 이루어졌다면 근대 이후는 다자관계로 변하였다. 전근대시대 중국의 조공·책봉체제와 화이관에 기초한 중화주의나 개혁·개방 이후 제기되고 있는 신중화주의 및 중화패권주의는 본질적으로 ‘중국 중심의 민족주의’에 기초한 것이다. 이것이 앞으로 한중관계에서는 어떻게 투영되고,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시해야 하는데 역사적으로 양국관계에 영향을 미쳤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recent trends and new discourses based on researches regarding the history of modern Korea-China relations studied by Korean academia on Chinese history. The Korean academia grasps overall understandings of how Korea and China recognized each other in the 20th century, what they communicated each other for, and which ways they faced, related, and influenced each other through.
    Korean academia on history understands that contemporary China’s ideological foundations are cultural conservatism and patriotism and points out that neo-Sino-centrism lies underneath them. Regarding the status of contemporary China, the superpower theory or the threat theory is a general trend, but the China-utilization theory is also suggested as well. The Korea-China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started from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enlarged exchange in the economic field, and developed into the current strategic partnership. It is clear that China, which emerged rapidly as a G2 nation in the 21st century, will be a key factor in the formation of global order and a determining factor in future changes in Korea-China relations. However, while the divided system continu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resence of the United States remains important in the Korea-China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