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주민센터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New Community Center Space as a Community Space -Focusing on user experience desig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0
14P 미리보기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주민센터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7호 / 235 ~ 248페이지
    · 저자명 : 임혜선, 김연정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주민센터는 지역민들의 복지와 문화생활의 욕구를 충족하는 대표적인 공공공간이며,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장이기 때문에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사용자들의 니즈(Needs)가 공간에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주민센터는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공간 계획이 반복되고 있어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주민센터를 더 다양하고 많은 사용자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활성화시키려면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주민센터의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 파악 및 개선점을 찾아 향후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주민센터 공간 디자인의 방향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먼저 주민센터와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중요성을 파악하고, 주민센터에서 나타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민센터 현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범위는 서울특별시 중, 건물의 연식이 17년 이상 차이 나는 주민센터 여덟 곳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2000년 이전에 지어진 주민센터 네 곳과, 2017년 이후에 지어진 주민센터 네 곳에서 나타난 사용자 경험 특성은 명확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에 지어진 주민센터일수록, 여가·문화 영역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경험 디자인 특성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현황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설문조사 결과는 주민센터 내 커뮤니티 프로그램 및 공간의 필요성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가·문화 영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주민센터의 공간 비중이 변화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최근에 지어진 주민센터일수록 경험 디자인 특성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성’,‘편의성’,‘상호작용성’이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향후 주민센터 공간 디자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mmunity center is a representative public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welfare and cultural life. Since it is a community venue for local residents, the changing lifestyle and users' need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pace. However, the current community center does not consider this and repeats uniform space plans, thus reducing its usability and efficiency as a community spac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community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design to activate it as a community space where more diverse users gath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rection of a new community center spatial design as a community space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problems and improving th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munity center. (Method) First,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enters and user experience design was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user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enter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enters was analyzed, and the scope was a comparative analysis of 8 community centers in Seoul with a building age difference of more than 17 yea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ommunity centers built before 2000 and four community centers built after 2017 were different. The more recently built the community centers,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leisure and cultural areas, and the more active th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Conclusions) First,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community programs and spaces at community centers. Second, the proportion of spatial areas of community centers changed over time. Third, the more recently built the community centers, the more activ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Lastly, for the community center to develop as a community space, user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must be reflected in the space, and particularly, “information,” “convenience,” and “interactivity” must be actively display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and that active follow-up research on community center space design as a community spac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