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시의 돌봄 주체와 새로운 모성의 재현 연구 - 2000년대 여성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Care Subjects and New Motherhood in Korea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Women’s Poetry of the 2000s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12
35P 미리보기
현대시의 돌봄 주체와 새로운 모성의 재현 연구 - 2000년대 여성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83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시인과 시적 주체의 관계는 실제와 가상, 현실과 허구라는 대립된 이항으로 볼 수 없다. 시적 주체는 오히려 시인이 글쓰기를 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 이상을, 시 텍스트 너머를 가정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로서 시에 자리한다. 본고는 시적 주체가 ‘시’와 ‘시대’의 관계와 요청에 의해 생겨난 개념이라는 전제 하에 시적 주체의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사건으로서 ‘돌봄’이라는 타자와의 관계에 주목했다.
    이러한 주체와 타자에 대한 이해와 전제를 바탕으로 본고는 시에서의 돌봄 주체와 그를 통해 새롭게 발명되는 모성을 논구하고자 했다. ‘새로운 모성’과 돌봄 주체에 대한 연구는 팬데믹 시기를 겪으며 드러난 돌봄 공백과 관련한 하나의 윤리적인 요청으로서 문학에서도 긴밀히 응답해야 할 최근의 과제이다. 모성을 가부장적 사회의 이데올로기로서 무조건적으로 거부하기보다, 모성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것만이 역설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이념과 사회 구조에 적극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에서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새로운 모성을 거듭 발명해야 한다. 본고는 2000년대 여성 시인 가운데 김행숙과 하재연의 시를 읽고, 각각의 시에서 여성이 아이를 돌보는 일이 그를 어떤 새로운 주체로 거듭나게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들 시의 돌봄 주체는 아이를 돌보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돌보는 행위를 통해서, 여성주의가 모성에 대해 갖는 양가적인 태도를 극복하는 상상력을 보여준다. 이 돌봄 주체를 통해 발휘되는 모성은 아이에 대한 돌봄 행위 속에서 자기 자신의 분열과 상실을 수습해가는 특성을 지닌다. 그로써 이들은 모성이라는 고정관념을 벗어나는 동시에 새로운 모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행위자와 피행위자 모두 소외되지 않는 방식의 돌봄에 대한 제안은 우리 시대에 필요한 돌봄 윤리와도 긴밀히 조응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룬 2000년대 여성시의 돌봄 주체와 새로운 모성에 관한 문제의식은 차후 다른 시기의 한국 여성시에서 여성 주체와 모성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맥락화 할 수 있는 주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poetic subject cannot be seen as a conflicting bin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fiction. Rather, the position of the poetic subject plays a role in helping the poet imagine more than he can say through writ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child/I) as an even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poetic subjects under the premise that the poetic subject is a concept created by the request of 'poetry' and 'the tim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nd premise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Other,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subject of care in the poem text and the newly invented motherhood through it. Research on new motherhood and care subjects is an ethical request related to the "care gap" after the recent pandemic, and is a task that must be closely responded to in literature. Rather than unconditionally rejecting "motherhood" as an ideology of a male-centered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vent a new motherhood suitable for the change of the times, paradoxically seeing that only accepting "motherhood" as itself can actively resist male-centered ideology and social structure.
    This study read poems by Kim Haeng-sook and Ha Jae-yeon, and analyzed what kind of subject it is possible to take care of children in each poem. The care subjects of these poem texts show the imagination of overcoming the ambivalent attitude of feminism toward motherhood through the act of caring for children and taking care of themselves. As a result, the new motherhood has the characteristic of dealing with her own division and loss.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caring subjects and new motherhood cover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ajor opportunity to rediscover and re-context the meaning of female subjects and mothers in Korean women'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