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카타르시스 - 주도적 해석들의 재검토를 통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Aristotle and the Catharsis of the Tragedy - A new understanding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prevailing interpretation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4.03
46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카타르시스 - 주도적 해석들의 재검토를 통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53권 / 1호 / 121 ~ 166페이지
    · 저자명 : 권혁성

    초록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비극의 카타르시스를 종래의 주도적 해석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재조명한다. 그 해석들은 카타르시스 이해에 다소간 중요한 기여들을 하면서도, 각자의 입장을 위한 경직성 때문에 한계들도 갖는다: 도덕주의적 해석은 그 한 가지 대표적 노선을 통해 카타르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이해되는 ‘도덕성’과 연계될 길을 적절히 보여주기는 하나, 카타르시스를 전면적으로 도덕적인 것으로 파악하려는 과도함을 보인다. 도덕주의적 해석을 비판하며 본격화된 의학적 해석은 카타르시스의 ‘감정 치료’ 본성을 적절히 지적하면서도 그것의 ‘도덕성’과의 연관을 무리하게 부인하며, 이 후자의 해석을 비판하며 최근까지 활발히 개진되는 인지주의적 해석은 카타르시스의 ‘인지적’ 기반을 훌륭히 지적하고 때때로 그것의 ‘도덕성’과의 연관도 효과적으로 드러내면서도 그것의 ‘감정적’ 본성에 합당한 비중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한계들을 극복하면서 이 기여들을 조화롭게 통합할 새로운 관점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에 부합하게 찾으면서 본고는 카타르시스를 다음과 같이 재해석한다: 그것은 가능한 한 이상적인 플롯으로 재현된 연민스럽고 공포스러운 행위가 적격의 감상자에게 충실히 이해되면서 그의 마음에 연민과 공포를 그 대상에 가능한 한 적합하게 환기함으로써 그가 실생활에서 다소간 부적합하게 느끼던 같은 감정들을 이 감정들의 본성에 가능한 한 적합하게 정련하는 감정적 성과를 낳는 과정이다. 이것은 감상자의 충실한 작품이해를 ‘기반으로’ 연민과 공포를 적합하게 환기하고 정련하면서 감정적 즐거움을 낳는 과정이며, 이 감정적 적합성 덕택에 덕성 형성에도 기여한다. 요컨대, 카타르시스는 인지적 토대를 전제로 도덕성에 기여하는 미적 성취로서 비극이 낳는 가치의 중심이며 이런 한에서 비극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ast a fresh light on the Aristotelian Catharsis of the Tragedy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so far prevailing interpretations about the theme. For these interpretations have, despite their more or less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 about the theme, some shortcomings which result from their stubbornness for their respective positions: Though the moralist interpretation, through a representative line of its exponents, makes clear a dimension rightly in which the catharsis relates to the morality, it proceeds nevertheless unduly in that it takes it in its essential whole as a moral matter; the medical interpretation, which is established for the sake of a criticism on the moralist interpretation, explains the nature of the catharsis as a therapy of emotions certainly well, but denies its relation to the morality unjustly; the cognitivist interpretation, which is being actively developed up to the recent times in a critical position to this latter interpretation, calls our attention to the cognitive basis and sometimes also to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catharsis certainly effectively, but does not consider its emotional nature duly enough. By searching for a new viewpoint, from which it would be possible for u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 these contributions harmoniously, in accordance with the Aristotelian thinking,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 the catharsis anew, as follows: It is a process in which a pitiful and fearful action represented in a tragedy as ideally as possible is understood by a competent recipient rightly and arouses thereby pity and fear in his mind as adequately as possible to the nature of the represented object, so that it brings about the emotional effect, that the same emotions in the recipient aroused otherwise more or less inadequately are refined as adequately as possible to the nature of the emotions themselves. It is therefore a process in which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cipient about the represented action works as the basis and from this activity of his mind it results that the pity and the fear are aroused and refined adequately, which is at the same time accompanied by a pleasure; in virtue of this adequateness of arousal and refinement of the emotions, it contributes also to a formation of the morality. Therefore, the catharsis is an aesthetic accomplishment, which contributes to the morality on the condition of the cognitive basis and constitutes in this relation to both the main element of the tragedy’s values, and in this sense its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