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아렌고의 횡단 언어를 통해 본 ‘관계적 정체성’과 새로운 이탈리아성 (Relational Identity and the New Italianity through Viarengo’s Translingual Langu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4
28P 미리보기
비아렌고의 횡단 언어를 통해 본 ‘관계적 정체성’과 새로운 이탈리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탈리아어문학 / 7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희정

    초록

    이주 증가 따른 언어 현상-다중, 이종, 다성 또는 횡단 언어(translingual)-은 상당수의 텍스트에서 드러난다. 횡단 텍스트에는 자문화와 현지 문화가 대화하듯 비교되며 서술된다. 종교, 음식, 풍경, 전통 등 다양한 틀이 다뤄지며 두 문화 간의 공통적이거나 상이한 측면이 부각 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종종 자신과 거리가 먼 이문화에 익숙해질 뿐만 아니라, 자문화와 사회를 외부적 관점—다르게 또 비판적으로—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렇게 비교가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한편으로는 이주 주인공들이 새로운 땅에 점차 적응하고 현지 문화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조합’이 이뤄지면서, 그들의 특정한 성격이나 행위를 어느 한 문화에만 귀속시키기 어렵게 만든다. 이렇게 획일적이고 단순한 문화적 고정관념은 해체되고, 이문화와 자문화를 횡단하는 문화적 언어로의 글쓰기가 등장하게 된다.
    ‘전환, 번역(translated)되는 정체성과 문화’라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탈식민지 문학 및 문화 연구 이론가들에 의해 다루어졌다. 이들은 서로를 읽고 읽히는 상호 텍스트의 다성성에 부흥하기 위해서는, 번역의 중요성과 언어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베세메레스Mary Besemeres가 이주 작가들을 ‘언어 이주민’이라고 표현했던 이유는, 모국어가 아닌 현지 언어로 자신의 서사를 표현하며, 새로운 언어 코드로 자신을 번역하려 할 때 직면하는 문제들에 끊임없이 적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외국어에서 모국어로 번역하는 보통의 번역가들은 낯선 것(타자)을 익숙한 자신의 언어 형태로 가져 와 ‘마음 놓고’ 편안히 자국 독자들에게 전한다. 반면 언어 이주민들은 정반대의 작업을 한다. 익숙한 자신의 것을 현지 언어로 옮겨 현지인이 받아들일 수 있게 전환시켜야 한다. 즉, ‘언어 이주민’들은 그들의 자아를 타자로 번역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계 이탈리아 이주 작가 비아렌고M. Viarengo의 작품을 분석하며, 모국어에서 현지 대상 언어로 이행되는 그녀의 번역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언어 이주민’인 그녀는, 모母문화의 문화/언어적 자아와 이주지에서 재배치된 언어/문화적 자아를 포괄하는 횡단언어를 끊임없이 찾아내며 사용한다. 비아렌고는 작가이기 이전에 이미 삶의 번역가로 존재했고, 결국 그녀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 번역(self-translation)’이다.
    비아렌고는 ‘포스트식민 사회’ 특유의 ‘의도적 망각(intentional forgetting)’이 작동한 이외에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이 식민지와 ‘식민지 이후’를 역사적․중층적 맥락에서 깊이 있게 사유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고통받는 자‘이거나 ’고투(苦鬪)하고 있는 자‘의 외침으로서이다. 더욱이 에티오피아계 이탈리아인이었던 그녀에게 정체성은 횡단적이다. ‘그대’라고 타자화하는 어떤 대상들과 ‘나’는 원래 하나이며, ‘나’는 애써 그 동질의 집단으로부터 벗어나오기 위해 애쓰는 ‘주체’일 뿐이라고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대’는 본디 ‘나’와 구분되는 타자가 아니라, 구분을 위해 ‘나’가 ‘그대’라고 부름으로써 비로소 ‘타자’가 되는 ‘어떤 대상’인 셈이다. 어느 쪽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함과 동시에 다중 정체성을 지닌 그녀는, 진정한 모(母)어를 갖지 못한 작가라는 자각, 어떤 의미에서는 언어 고아라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그녀의 좌절은 글쓰기와 번역을 통한 관찰과 성찰로 ‘자기번역(self-translation)’을 배우고 숙고하는 시간을 기록할 수 있었다.
    비아렌고의 횡단적 언어는 북부 이탈리아에 거주하는 1세대 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들의 실천, 협상, 그리고 장소, 정체성, 소속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것은 실제 아프리카와 유럽 사이의 국경이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유동적임을 시사함을 보여준다. 이 "관계적 장소(relational place)"에서 전환된 이들의 신체의 물질성과 인종적 담론 및 실천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 시간을 통해 얽혀 있는 아프리카와 유럽의 깊은 연관성을 분석한다.

    영어초록

    The phenomenon of language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migration—translingual, hybrid, polyphonic—emerges in a significant number of texts. In translingual texts, self-culture and the local culture are often compared and described as if in dialogue. Various frameworks, such as religion, food, landscapes, and traditions, a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common and differing aspects between the two cultures. Through this, readers are not only familiarized with cultures that are distant from their own, but also begin to view their own culture and society from an external perspective—differently and critically. During this comparativ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protagonists of migration gradually adapt to their new land and, through their contact with local culture, inevitably form a ‘combination,’ making it difficult to ascribe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or behaviors solely to one culture. As a result, uniform and simplistic cultural stereotypes are dismantled, and writing in a cultural language that traverses both foreign and native cultures emerges.


    The concept of ‘transformed and translated identity and culture’ has long been addressed by postcolonial literary and cultural theorists. They emphasized that in order to foster the polyphony of intertextual readings,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and linguistic flexibility must be utilized. Furthermore, Mary Besemeres' description of migrant writers as ‘language migrant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se writers must constantly adapt to the challenges they face when attempting to translate their narratives into a new linguistic code, rather than expressing themselves in their native tongue. Regular translators who translate from a foreign language to their native language typically bring the unfamiliar (the Other) into their own language forms, comfortably presenting it to their home audience. In contrast, language migrants do the opposite. They must translate their familiar selves into the local language, making it accessible for the local audience. In other words, ‘language migrants’ are translating their own identity into the Other.


    This study analyzes the works of Ethiopian-Italian migrant writer M. Viarengo, focusing on her process of translation from her mother tongue to the local target language. As a ‘language migrant,’ Viarengo constantly searches for and uses translingual language that encompasses both her cultural/language identity from her native culture and her recontextualized language/cultural identity in her migration context. Viarengo, before being a writer, was already a translator of life, and ultimately, what was most important to her was ‘self-translation.’

    In addition to the ‘intentional forgetting’ specific to postcolonial societies, Viarengo found herself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and complex factors prevented a deep reflection on the historical and multi-layered context of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era. Her writing is thus a cry from the ‘suffering’ or the ‘struggling’ ones. Moreover, for Viarengo, as an Ethiopian-Italian, her identity is translingual. She understands that ‘the Other’ she refers to as “you” and “I” were originally one and that ‘I’ am merely a subject striving to escape from that homogeneous group. Therefore, the ‘Other’ is not inherently separated from ‘I’; it only becomes the ‘Other’ because ‘I’ call it so in order to create that distinction. Torn between not feeling belonging to either side, yet possessing a multiple identity, Viarengo came to realize that she was a writer without a true mother tongue—a linguistic orphan, in a sense. However, her frustration was recorded through writing and translation as she learned and reflected on ‘self-translation.’

    Viarengo's translingual language encapsulates the practices, negotiations, and meanings of place, identity, and belonging among first-generation African-Italians in Northern Italy. This suggests that the border between Africa and Europe is far more porous than it may appear. In this "relational place," the materiality of their bod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acial discourse and practices, and the profound intertwining of Africa and Europe through space and time are analyz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