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의 변화와 전쟁론의 진화: 헤어프리트 뮌클러의 '새로운 전쟁' 이론을 중심으로 (On Herfried Münkler’s Theorem of ‘New War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8
37P 미리보기
전쟁의 변화와 전쟁론의 진화: 헤어프리트 뮌클러의 '새로운 전쟁'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치연구 / 12권 / 2호 / 118 ~ 154페이지
    · 저자명 : 공진성

    초록

    이 글은 독일의 정치학자 헤어프리트 뮌클러의 ‘새로운 전쟁’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오늘날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인 전쟁의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본다. 9.11 테러와 함께 촉발된 ‘새로운 전쟁’ 논의는 과거의 고전적 전쟁 모델과 사뭇 다르게 전개되는 현대의 전쟁 사건들을 이해하고 그에 적절한 군사적ㆍ정치적 대응을 제안하려고 한다. 그러나 ‘새로운 전쟁’ 개념과 이론에 대해 적지 않은 비판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것이 전쟁이 아니라는 비판, 그것이 전쟁이더라도 전혀 새롭지 않다는 비판, ‘새로운 전쟁’ 논의가 유럽중심적이라는 비판, 그것이 탈냉전 시대의 안보정책상의 필요에 의해 ‘새로운 적’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 그리고 부수적으로 그것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이제 쓸모없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뮌클러는 이런 비판들에 대해, 그것을 전쟁으로 보는 것이 도덕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유익하며, ‘새로운 전쟁’의 새로움은 기존에 있었던 요소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며 서로 강화한다는 데에 있고, 유럽적 기원을 가진 고전적 전쟁의 모델과 그에 근거한 국제법 규범이 비서구 세계에서도 여전히 사태를 각인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전쟁’ 개념과 이론은 없는 적을 단순히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적의 합리적 이해를 통한 전쟁의 통제를 목표로 하며, 마지막으로 클라우제비츠가 ‘새로운 전쟁’과 관련해서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전쟁’에 관한 논의에서 우리는 오늘날 서구 세계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과 그에 대한 군사적ㆍ정치적 대응 방식을 두고 벌어지는 이론적 경쟁을 관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of war and their implications, a very important issue today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New Wars’ by German political scientist Herfried Münkler. The discussion of ‘New Wars’, sparked by the Sept. 11 terrorist attacks, seeks to understand contemporary war events and propose appropriate military and political responses to them, which develop quite differently from the classical model of war in the past. Bu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riticism of the concept and theory of ‘New Wars’. Critics said that it is not war, that it is not new at all even if it is war, that the discussion of ‘New Wars’ is eurocentric, that it aims at forming a ‘new enemy’ by the needs of security policy in the post-Cold War era, or that it misunderstands Clausewitz’s theory of war as now useless. However, Münkler answers that it is morally and politically beneficial to see those military conflicts as war, that the newness of ‘New Wars’ is that existing, not new elements combine and strengthen each other in a new way, that the classical model of war with European origins and the norms of international law based on the model still have the power to regulate the events in the non-Western world, that ‘New Wars’ concept and theory aim at not just making an enemy who really does not exist, but controlling wars through rational understanding of enemies, and lastly that Clausewitz still has relevance in regard of ‘New Wars’. In the discussion of ‘New Wars’, we can observe the new challenges with which the Western world is confronted, and the theoretical competition of intellectuals taking place over the way of military and political response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