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현대 생활문화 조사와 연구의 방향 -새로운 직종의 등장과 관련하여- (Directions for the Folklore Research on Modern and Contemporary Life Culture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New Occupa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근현대 생활문화 조사와 연구의 방향 -새로운 직종의 등장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1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배영동

    초록

    근현대 생활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조사와 연구는 근대 이후 일반인들(common people)의 삶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의 생활사를 구축하려는 작업이다. 하지만 근현대 생활문화 조사와 연구의 대상은 상당히 광범하고 다양하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우선적으로 근대 이후 등장한 직종을 중심으로 하여 거기에 종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생활문화 조사 연구를 제안하였다.
    근현대 생활문화 조사연구의 대상에 대해서는 4유형으로 제시하였다. (1)전근대사회에 없었던 새로운 물품을 만들었던 사람들의 삶, (2)새로운 도구․기계․설비 등을 도입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일했던 사람들의 삶, (3)새로운 매체․도구․물품을 제작 또는 판매․수리하는 사람들의 삶, (4)새로운 제도와 문물로 사람들과 교감했던 사람들의 삶이 그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민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더 근접된 직종이 우선적인 조사연구 대상으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조사과정에서는 새로운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일하는 방식과 형태를 중심에 두고 그들의 생활문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민속학에서는 주로 육체노동을 하면서 살아가는 ‘일반인들의 삶의 경험과 인식’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직종 종사자들의 노동의 방식과 형태를 중심에 두고, 그들의 의식주, 사회관계, 의례, 여가활동 등을 포함하여 조사하면 민속학적․역사학적 의의가 자못 큰 작업이 될 것이다. 자료 분석과정에서는 전통문화가 근대문화 또는 현대문화와 어떻게 만나서 어떤 형태로 지속되고 변화되며, 그와 더불어 근대문화나 현대문화가 어떻게 정착되어 가는지를 중요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전통문화의 단절, 연속, 구조변동을 포착하면서, 전통–근대-현대의 생활사적 접속과 변동의 논리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근대문화와 현대문화에 대해서 문화변동의 측면에서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근현대문화 도입과 수용 과정에서 어떤 문화적 특성이 드러날 지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세계체제 속에서는 문화다양성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Folklore research on modern and contemporary life culture aims to establish a cultural history of Koreans based on the life of common people since the modern era. However, there is an extensive and varied range of research subjects for the studies on modern and contemporary life culture.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a life culture research for people engaged in the occupations that emerged after the modern period.
    Four types of subjects are presented for the research of modern and contemporary life culture: first, the lives of the people who created goods which did not exist in premodern society; second, the lives of the people who worked in new ways by introducing new tools, machines, and equipment; third, the lives of the people who made, sold, or repaired new media, tools, or goods; fourth, the lives of the people who communicated through new systems and modern conveniences. Specifically, occupations that are closer to understanding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should be selected as subjects of priority research.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process should focus on the ways in which people work and their forms, and to grasp their life culture. That is because, in folkl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lives of the ordinary people" who rely on physical labor. Works focusing on the methods and forms of labor in new occupations, including the investigations on food, clothing and shelter, social relations, rituals, and leisure, would have significant folkloristic and historical implication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dat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traditional culture encounters modern culture or contemporary culture, and how the traditional culture is sustained and transformed in relation to one another, in addition to this, how modern culture or contemporary culture is settled.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look for the logic of traditional-modern-contemporary cultural connections and change, while capturing the discontinuity, continuity, and structural changes in tradi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e in terms of cultural change, but also to what cultural characteristics will be reveal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accepting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e in Korean society; in the world system, cultural diversity is an important value to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