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회사 연구의 새로운 관점: 정두희의 천주교회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New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Church History -Focused on Chung Doo Hee’s Achievement on the Study of Catholic Church Histo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8
34P 미리보기
교회사 연구의 새로운 관점: 정두희의 천주교회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67호 / 109 ~ 142페이지
    · 저자명 : 조한건

    초록

    조선왕조의 건국문제와 조선사회사 연구에 천착했던 정두희는 한국천주교회사에대한 글을 적지 않게 남겼다. 그의 천주교회사에 대한 글은 비록 연구논문이라기보다역사가가 바라보는 천주교회의 모습과 조선의 주류에서 벗어나는 공동체에 대한 묘사이지만, 거기에는 교회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방법론과 관점이 많이 들어가 있다. 따라서 정두희가 남긴 교회사 서술에 대해서 중요한 부분들을 검토한 후, 거기에서 배울수 있는 교회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과 관점을 추출해 보고자 한다.
    그가 남긴 천주교회사에 대한 글을 통해 정두희의 교회사 연구방법과 관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철저한 연구사 정리를 바탕으로 하는 관련사료의 독서로 역사 연구가 시작된다. 천주교와 관련된 인물 예컨대, 정약전, 김대건, 배교자 최해두와같이 관련 사료들이 새로 나올 때 마다 새로운 검토를 통해 연구가 보충되고 있다. 둘째, 외국학계의 학문조류를 교회사 연구에 반영한다. 치즈와 구더기 라는 미시사의내용을 참고하여 ‘천지창조설’에 대한 조선후기 학자(안정복)와 16세기 이탈리아의 농부(메노키오)의 견해를 비교하고 있다. 셋째, 정두희는 우리나라에 컴퓨터가 대중화되기 전부터 역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해박해와 병인박해를 설명하기 위해 자료의 수치화와 통계를 통해 분석하며 연구하였다. 넷째, 인물사 중심의 역사서술과 대중화를 지향하고 있다. 정두희는 인물사 연구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였고, 그러한 인물을 통해 내밀한 역사에 접근하여 이해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대중과 소통하는 역사서술로 전달하고자 했다. 이러한 정두희 교회사연구를 한마디로‘시대사를 통해 교회사를 바라보는’ “균형 사관” 혹은 “중용 사관”이라고 붙여본다.

    영어초록

    Chung Doo Hee focused his academic career on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social history, which led him to produce much historiography on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Korea. Although such of his writings are, rather than academic theses, descriptions and views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 community that has deviat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from a historian’s perspective. His writings, however, still connote many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significant for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Korea. Thus, this thesis reviews his key descriptions on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Korea and draws new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for its research.
    From his descriptions and texts related to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Korea, Chung Doo Hee’s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can be summarized as: First, his historical research began with reading relevant historical records based on an exhaustive summary of research history.
    Research on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Catholicism in Korea, e.g., Jeong Yak-jeon, Kim Dae-geon and Choe Hae-du the apostate, is still being updated with new discoveries of historical records. Second, academic trends outside of Korea was applied to the Korean Catholic history research. The microhistorical approach in The Cheese and The Worms by Ginzburg was applied as he compared the opinions on Creationism of late-Joseon scholar An Jeong-bok and16th-century Italian farmer Menocchio.
    Third, he carried out his research through a database of historical data even before personal computers had been popularized in Korea. In order to discuss the Catholic Persecutions in the years of Gihae(1839) and Byeongin(1866), he quantified the records and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Fourth, he pursued popularizing historiography focused on historical figures. Chung Doo Hee strong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f historical figures and endeavored to achieve a more intimate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deliver the outcome in historiography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Chung Doo Hee’s research on Church history could be summed up as “balanced historical perspective” or “moderate historical perspective” ‘on Church history through the history of a specific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