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에 대한 새로운 비판 방식 - 이준익 감독의 <동주>, <박열>을 중심으로 (A New Method to Critique Japanese Occupation : Lee Joonik’s Dongju and Anarchist from Colon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9
24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에 대한 새로운 비판 방식 - 이준익 감독의 &lt;동주&gt;, &lt;박열&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예술연구 / 21호 / 149 ~ 172페이지
    · 저자명 : 이준엽, 정태수

    초록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기존 영화들이 민족주의적 관점을 택하는 것과는 달리 <동주>(2016)와 <박열>(2017)은 아나키즘적 관점을 부각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나키스트>(2000)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준익 감독은 이전부터 아나키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필망설’이라는 징크스를 깨며 일제 강점기를 다룬 영화들이 활발하게 제작되기 시작했다. 셋째, 의열단, 김원봉 등의 소재가 간접적으로나마 다루어지며 아나키즘을 이야기할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이준익은 <동주>에서 ‘송몽규’라는 캐릭터를 통해 아나키즘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며, 이후 <박열>을 통해 보다 직접적으로 아나키즘적 관점을 부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두 영화의 주인공들은 기존 영화들이 다룬 민족주의적 영웅상에서 벗어나 있다. 또한 두 작품은 취조 장면을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연출 전략을 택한다. 이는 일제의 파시즘을 비판하는 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한국 관객에게 다소 낯설 수 있는 ‘아나키즘’이라는 개념을 지루하지 않고 속도감 있게 설명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경향과 연출 전략은 영화의 완성도와 별개로 흥미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here the majority of South Korean films ab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tend to adopt a nationalist point of view, director Lee Joonik’s works Dongju: The Portrait of a Poet(2016) and Anarchist from Colony(2017) demonstrate an anarchist perspective. The chronology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Lee Joonik produced Anarchists(2000), which shows his early interest in Anarchism. Second, following a period of hesitation, films ab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began to be more actively produced. Third, despite often being indirect alluded to or obliquely presented, anarchist characters and organizations began to appear more often in Korean films. This enabled Lee Joonik was able to raise and develop a discussion on anarchism through the character of Song Mong-gyu in Dongju, and later, more explicitly explore those themes in Anarchist from Colony. The main characters of both films are far from nationalistic heroes. And the two films repeatedly insert a scenes of interrogation in a police station or courts of law. These scenes are not only effective in criticizing the fascist aspect of Japanese colonization, but also effective in explaining to Korean audiences the unfamiliar concept of anarchism in an engaging wa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se tendencies and strategies of the director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movie, separate from an analysis of the movie’s production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