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기술문명 시대의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향한 프롤레고메나 (A Prolegomena to a New Horizon of the Post-Barthian Theologies in the Era of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4
33P 미리보기
과학기술문명 시대의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향한 프롤레고메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신학연구 / 31권 / 12 ~ 44페이지
    · 저자명 : 김성원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에 대한 프롤레고메나로서 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포스트-바르트신학은 경이롭고 신비스러운 영적인 아름다움의 신학을 전개하여 차세대에 복음의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신의 경륜적인 보편적 메타내러티브의 시대적 상황화를 통해서 진전된 신적소통의 신학을 전개하는 것이다. 20세기 바르트신학은 말씀의 신학으로서 교회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말씀의 신학은 모더니티의 지식중심주의와 언어-명제주의 상황에서 수용성을 더할 수 있는 신학이었다. 한국교회의 말씀 중심의 교회부흥은 바르트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신학적 신학에 의한 교회부흥은 소강상태에 있으며, 복음에 대한 수용성이 줄어들고 있다. 그 이유 중에 가장 두드러진 것은 신학적 신학과 과학기술문명 사이의 비연속성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포스트-바르트신학은 언어-명제적인 말씀의 신학을 넘어서 말씀의 신학의 새로운 신적소통을 진전시키는 작업이다. 성서의 해석학적 범주 안에서 말씀에 기반을 두면서 자연과 과학을 활용하여 보편적인 메타내러티브신학, 체화된 영성신학, 영적미학, 메타신학의 진전이 혁신적으로 일어나야 기독교진리의 차세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차원에서 포스트-바르트신학의 방향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 prolegomena to a new horizon of the post-Barthian theologies in the era of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The theology of Karl Barth has been estimated one of the most prominently influential one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theology since the theology of Thomas Aquinas. It‘s influences are also deemed to persist continually as highly instrumental feature for the subsequent generation of Christianity. However, the background of the theology of Barth was fundamentally the method of modernity, which does not cohere with the apparatuses of techno-scientific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of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Those interpretational schemes, which are drastically dissimilar from the ambiance of the time of Barth, will be a considerable challenge to the Christianity of the next generation. As a prolegomena suggestion to the challenge, this essay submits a thesis that the post-Barthian theologies should coexist with innovative familiarization of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s and postmodernism in the theological exercises for effective evangelism. Indeed, the direction of the post-Barthian theology should be advanced in the areas of meta-theology, meta-narrative theology, spiritual aesthetics, and theology of the embodied spirit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직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